총 4개
-
1880년대 메이지 유신 일본의 군사력과 힘을 강조하는 현실주의자2024.09.251. 메이지 유신과 일본의 근대화 1.1. 메이지 유신의 배경 1.1.1. 서구 열강의 불평등 조약 아편전쟁 이후 미국은 중국과 무역을 하고자 하였으나, 일본은 계속해서 통상을 거절하였다. 1853년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에도 앞바다에 검은 함선을 끌고 와 일본이 개항할 것을 요구하였다. 당시 막부는 천황과 다이묘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군사력 앞에서 위기감을 느끼며 독단적으로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전형적인 불평등 조약이었지만, 일본은 서양 세력에 개항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미국 외에도 영국,...2024.09.25
-
노우존2024.09.301. 탐구 주제 1: 일본 속의 한민족사 1.1. 귀 무덤 귀 무덤은 일본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에 있는 무덤으로 현재 임진왜란의 원흉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받드는 도요쿠니 신사에서 100미터 떨어진 건너편 공원에 방치되고 있다. 이 귀 무덤에 대해 가이드 선생님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실제로는 낮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빠른 지위 상승을 이루게 되자 시기 질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에 전쟁을 일으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 했다고 말했다. 결국 조선이 일본이 명나라에 닿기 위해 거쳐야 할 길이었던 불운한 나라가 되었고, 도요...2024.09.30
-
메이지유신2024.08.211. 서론 1.1. 메이지유신과 일본 근대화 동아시아의 근대화는 서구 열강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서막을 연 사건이 청과 영국의 아편전쟁이었다. 청이 아편전쟁에서 참패하고 내부에서도 태평천국의 난 등 나라가 혼란스러워지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근대화 개혁을 시작하였고 이후 일본과 한국도 차례로 근대화되었다. 그중 일본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은 중국의 양무운동과 달리 급진적인 개혁이었다. 일각에서는 이 개혁 덕분에 일본이 아시아 나라 중 유일하게 세계대전에서 서구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강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2024.08.21
-
전북대2024.12.181. 일본문화의 특징 1.1. 일본의 전통예능 1.1.1. 가부키 가부키는 전통 공연 예술로서 17세기 초에 형성되었다. 가부키는 노래, 춤, 연기가 어우러지는 공연을 의미한다. 에도시대 이즈모타이샤 신사에서 오쿠니누시노 미코토가 염불에 가락을 붙여 춤을 추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가부키는 남자배우로만 구성되며 여성 역은 남자배우가 여성적 발성을 통해 표현한다. 과거 여성 배우가 극단에서 매춘을 겸하는 경우가 생겨나면서 막부정부는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온나가부키를 금지했다. 그 이후 남자로만 구성된 가부키만...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