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HNP와 spinal stenosis2024.11.241. 서론 척추는 인체해부학에서 몸통의 뒤쪽에서 몸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로 흔히 척추(脊椎)라고도 부른다. 척주는 34개의 척추뼈(vertebra)로 구성되며 각각 척추원판에 의해 분리된다. 척주에는 척추관(spinal canal)이라 하는 공간이 있으며, 그 안에 척수(spinal cord)를 둘러싸고 보호한다. 척추뼈는 짧은뼈(단골, short bone)에 속하며, 중심이 되는 척추뼈몸통(추체, vertebral body)과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척추뼈고리(추궁, vertebral arch), 그리고 여러 돌기(pr...2024.11.24
-
척추 수술 환자 교육2024.10.151. 척추수술 환자 간호 1.1. 척추수술의 종류 1.1.1. 미세절제술(microdiscectomy) 미세절제술(microdiscectomy)은 추간판의 탈출된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미세수술도구를 사용하는 수술 방법이다. 이 수술은 기존의 척추수술에 비해 출혈과 조직 손상이 적으며 조직의 통합성이 잘 보존된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세절제술은 척추에 작은 피부 절개를 가하고 근육을 최소한으로 제거하여 추간판 부위에 접근한다. 그리고 척추 신경을 보호하며 탈출된 추간판 파편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척수신경이나 ...2024.10.15
-
척추 수술 환자 교육 자료2024.10.151. 서론 1.1. 척추수술 환자 간호의 필요성 척추수술 환자 간호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척추수술은 복잡한 수술이며 수술 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척추수술 환자들은 통증, 신경학적 증상, 운동 및 감각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수술 직후 척수와 신경근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한 운동 및 감각 장애, 배뇨 및 배변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사정과 중재가 중요하다. 둘째, 척추수술 환자들은 수술 후 합병증 ...2024.10.15
-
요통 문헌고찰2025.04.101. 서론 요통은 척추뼈, 추간판(디스크), 관절, 인대, 신경, 혈관 등의 기능 이상 및 상호 조정이 어려워짐으로써 발생하는 허리 부위의 통증이다. 평생 동안 60~90%의 사람이 요통을 겪게 되고, 1년간 발생률은 5%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젊을 때는 척추의 뼈나 추간판, 인대가 튼튼하여 어지간한 일이나 운동에도 별 문제가 없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추간판 등이 점차 노화되면서 이전에는 별 문제 없이 해 왔던 일이나 운동에도 허리에 무리가 가고 아프기 시작한다. 이처럼 척추에 가해지는 역학적 부화와 노화에 따른 퇴행성...2025.04.10
-
척추수술 환자 간호2025.07.061. 서론 1.1. 척추수술의 개요 척추수술의 목표는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척추수술에는 미세절제술, 감압성 척추후궁절제술, 척추융합술 및 관절고정술, 도구삽입 척추융합술 등이 있다. 미세절제술은 추간판의 탈출된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미세수술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 수술에 비해 출혈과 외상이 적고 조직통합성이 보존된다. 감압성 척추후궁절제술은 척수를 노출시키는 추골의 후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여 척수에 대한 감압을 목적으로 적용된다. 척추융합술은 추골 사이에 골이식편을 이식하여 새로운 뼈가 성장하여 두 추골이 융합되면 통증...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