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마취 간호2024.09.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및 역사 마취란 의식과 감각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진료 행위이다. 마취의 개념은 18세기까지는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마취의 역사는 고대부터 존재했는데, 수천 년 전부터 알코올, 아편, 대마초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4세기 BC 고대 그리스의 의사 디오스코리데스는 만드라고라 뿌리를 사용하여 수술 중 통증을 줄이는 방법을 기록했다. 이...2024.09.22
-
차가운 의학 따뜻한 의사2024.09.211. 수술을 위한 마취의 이해 1.1. 수술 전 준비 수술 전 준비는 수술이 결정되면 혈액 검사, 흉부 X-ray, CT, MRI 촬영 등 수술에 필요한 설명을 듣고 검사를 받는 것으로 시작된다. 수술 전에 환자와 보호자는 의료진에게 합병증이나 마취과정에 필요한 비급여 진료 그리고 장비의 사용과 관련된 설명을 듣고 마취동의서를 작성해야 한다. 입원 후, 환자는 수액 주입과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를 받으며 수술 전 위장을 비우기 위해 밤 12시부터 금식을 해야 한다. 그러나, 고혈압약이나 간질 치료제 등은 반드시 계속 복용해야 하므...2024.09.21
-
마취종류에따른간호2024.12.011. 마취의 종류와 간호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2024.12.01
-
마취종류 간호2024.11.24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르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 배설되기 위해서는...2024.11.24
-
마취간호2024.10.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의식과 감각 및 반사 작용이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마취"란 말은 18세기까지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전신마취와 국소 혹은 부위마취가 주된 마취 방법이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활동 유지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된다. 마취는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진료 행위이며, 이를 위해 숙련된 마취 관리...2024.10.22
-
Pico2024.10.171. 임상질문 1.1. 배경질문 1.1.1. 수술의 정의 수술이란 치료를 목적으로 피부, 점막, 조직을 절개하여 시행하는 외과적 치료행위이다. 질병이나 손상을 치료하거나 진단을 위해 인체에 의도적으로 손을 가하는 의료행위를 말한다. 수술은 병변을 제거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등의 치료 목적으로 행해지며, 때로는 진단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외과적 수술은 주로 전신마취나 척추마취 하에서 시행된다. 1.1.2. 수술 시 사용되는 마취의 종류 수술 시 사용되는 마취의 종류에는 국소 마취, 부위 마취, 전신 마취가 있다.""...2024.10.17
-
근거기반 PICO2024.11.261. 개요 1.1. 임상질문 정의 및 PICO 작성 척추마취 수술 환자에게 음악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음악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다"이다. 이 임상질문을 PICO 형식으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P (Patient/Population): 척추마취 수술하는 환자 I (Intervention): 음악요법 C (Comparison): 음악요법을 하지 않는 것 O (Outcome): 불안 감소 이 임상질문을 선정한 이유는 이전에 부분마취 수술을 받았던 경험에서 마취가 잘 되지 않을까 봐 불안했던 기억이 있었...2024.11.26
-
척추마취2024.09.011. 척추마취 1.1. 개요 척추마취는 복잡한 장비 없이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부터 시행되어온 오래된 마취방법이지만 아직도 많이 시행되고 있다. 오히려 최근 새로운 국소마취제의 발견과 아편유사제의 활용, 급, 만성 통증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시술이 더욱 보편화 되었다."" 1.2. 해부학적 구조 척추마취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척추마취 시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 거미막밑공간(subarachnoid space)은 뇌척수액으로 채워져 있고 제 2천추 부위까지 내려와 있으며 척수와 척수신경은 뇌척수액에 떠...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