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묻고 답하는 예배학 독후감 조기연 교수2024.10.311. 서론 저자는 본서의 서론에서 "한국교회의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이 이 책을 통해 예배에 대한 이해를 한층 증진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본서가 신학적 소양이 없는 평신도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하며, 교회 공동체가 함께 예배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 저자의 주된 의도라고 말한다. 저자는 예배가 그리스도인의 존재 목적이라고 보며, 성경적 지식을 토대로 한 바른 예배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서는 저자가 10년 이상 예배학을 강의하면서 받았던 57가지의 질문과 그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2024.10.31
-
묻고 답하는 예배학2024.10.211. 서론 1.1. 예배의 중요성 예배의 중요성은 교회와 그 교회를 이루는 성도의 존재 목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기독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을 믿고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이며, 이들이 예배를 드리는 것이 교회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예배는 구원받은 성도들이 창조주이자 구세주이신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과 찬양을 돌리는 것으로, 이는 그리스도인의 가장 중요한 존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교회에 참석하는 많은 성도들이 예배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배를 단순히 의무적으로 드리는 행...2024.10.21
-
찬송가의 역사에 대한연구2024.11.241. 초대교회 예배음악의 역사적 고찰 1.1. 서론 1.1.1. 연구동기와 문제제기 오늘날 한국교회는 찬송의 관점에서 완전히 미국에 종속되어 초기의 언더우드나 아펜젤러, 펜윅, 길선주 등이 노력했던 한국화에 대한 의지를 상실한 채 이방종교화 되어 버렸다. 목회자들은 찬송에 대하여 지도할 능력이 없어서 주로 젊은 층으로 구성된 찬양 팀에 일임한 채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예배음악이 예배의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 설교를 돕기 위한 효과음악 내지는 예배의 장식품처럼 취급되는 경향이다. 아울러 대부분의 교회가 예배음악에 대한 이해의...2024.11.24
-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2025.04.011. 서론 예배는 단순히 외적인 행위만이 아니라 영적인 실재의 표지들과 상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배의 좋은 형식은 회중을 참여의 길로 인도하며, 예배를 드릴 때 모든 마음을 하나님을 향하여 찬양하고, 기도하고, 말씀 속에 거하게 한다. 성서에는 고정된 예배의 순서를 보여주고 있지 않지만, 예배의 표현에 있어서 본질적인 형식을 인정한다. 구약은 형식과 의식을 강조하며, 신약은 예배의 정신과 자유를 역설하나 예배의 형식과 행위를 배격하지 않는다. 예배는 하나님의 구속적 행위들을 입증하고 그 뜻을 전달하는데 필요하므로, 예배의 역사적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