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DSM 역사와 DSM-5 차별성 및 특징2025.01.271. 서론 1.1. DSM의 개념 및 중요성 DSM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발간하는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으로, 정신질환 분류 및 진단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화된 체계이다. DSM은 특정 장애에 관한 진단기준과 정보를 제공하며, 일상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를 쉽게 설명한다. 또한 장애의 원인이 아닌 증상의 기술적 특징에 근거하여 진단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특정 이론적 입장에 치우치지 않는다. DSM은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개념을 제안한 다음 그것을 정의하기 위한 진단 범주를 선택하는 '하향식 ...2025.01.27
-
정신발달병리학2024.11.021. 아동정신병리: 발달적 체계 관점 1.1. 아동정신병리 연구를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 아동정신병리 연구는 성인연구에 비해 뒤늦게 시작되었으며, 아동기 장애가 이후의 아동기 및 성인정신병리와 동형 또는 이형 연속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아동기 정신병리가 장기적 적응과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동에서의 정신병리에 대한 개념화와 정의에 관한 문제에 대한 논쟁이 비교적 최근까지도 지속되어 왔으며, 아동정신병리의 주요 특징인 시간에 따른 역동적 변화를 찾아내기 어렵다"" 또한 아동정신병리 연구는 많은 아동기 문제들이 그 범위와 표현에...2024.11.02
-
최신정신의학 신경인지장애2025.03.231. 서론 1.1. DSM의 역사와 중요성 DSM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의 약어로,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출판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매뉴얼이다. DSM은 1952년 처음 발행되었으며, 이후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 DSM-5까지 발간되었다. DSM은 정신의학 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진단 기준으로, 정신건강 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하는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정신질환의 증상, 원인, 치료 등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