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고1 생활 속 문법요소 찾기 리포트2024.10.201. 한국어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원리 1.1. 사이시옷 삽입 현상 1.1.1. 고유어 + 고유어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사이시옷이 삽입되는 현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삽입한다. 이러한 예로는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2024.10.20
-
생활일본어2024.08.261. 생활 속의 일본어 1.1. 일상생활 1.1.1. 쓰리(すり) - 소매치기 쓰리(すり)는 일본어 "すり"에서 유래한 말로, 소매치기를 뜻한다. 일본어 "すり"는 "훑다", "문지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소매치기의 행위와 연관된다. 우리나라에서 "쓰리당했다"라고 말할 때, 이는 소매치기를 당했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소매치기는 일반적으로 밀집된 장소, 특히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사람들의 주의가 분산되어 있는 상황을 노려 물건을 훔치는 행위를 일컫는다. "すりにご用心(ようじん...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