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성인간호학 말단비대증 간호과정2024.09.131. 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1.1. 신장과 요로계의 구조와 기능 요로계는 크게 상부요로와 하부요로로 나뉜다. 상부 요로인 신장은 소변 생성 과정을 통해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산 염기 및 수분-전해질을 조절하여 체내 항상성을 유지한다. 하부요로는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며, 요관·요도는 소변을 운반하고,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한다. 요로계는 소변을 생성하는 두개의 신장(kidney),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두개의 요관(ureter),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bladder) 및 체외로 소변...2024.09.13
-
노인, 영양2024.09.121. 노인 영양의 중요성 노인 영양의 중요성은 생애 주기를 통한 영양이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일찍부터 형성된 좋은 식습관이 노인기 건강 유지에 영향을 끼치며, 노화와 함께 동반되는 당뇨, 동맥경화증, 고혈압, 비만 등과 같은 퇴행질환은 일생 동안의 식습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생에 후기에 시작되는 식이 변화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발현을 지연시키지는 않지만, 질환의 경과에 영향을 주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노인의 영양학적 변화 2.1. 생리현상 및 기능...2024.09.12
-
한양대 족보2024.09.221. 의료용어 지식 습득 1.1. 직장튜브 삽관 직장튜브 삽관은 기도를 확보하고 환기를 원활히 하기 위해 필요한 시술이다. 환자의 체위는 왼쪽 sim's 체위를 취하게 하는데, 이는 중력에 의해 튜브를 통한 용액이 하행결장으로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튜브 삽관 시에는 윤활제를 바르고 삽관 깊이는 코에서 귓불까지의 길이와 귓불에서 검상돌기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한다. 삽관 후에는 튜브의 끝부분을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위액을 흡인한 뒤 공기를 주입하여 상복부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2024.09.22
-
정형외과 약어2024.10.061. 근골격계 용어 1.1. 관절 및 인대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가 만나 연결된 부위로, 관절의 종류에는 경첩관절, 볼과 소켓관절, 활막관절 등이 있다. 관절에는 관절낭, 관절강, 관절윤활막, 관절연골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관절의 기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섬유성 연부조직이다. 대표적인 관절인대로는 무릎관절의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외측측부인대(LCL) 등이 있다. 이들 인대는 관절의 과도한 움...2024.10.06
-
학령기아동간호학 요약정리2024.10.181. 아동간호학 개요 1.1. 아동간호의 전망 아동간호학은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건강문제를 예방 및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간호학 분야이다. 아동간호사는 다양한 환경에서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 상담, 건강증진 활동 등을 수행한다. 특히 아동간호사는 직접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며, 아동과 가족의 건강관리 및 발달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를 실천한다. 또한 간호연구를 통해 아동 간호실무의 근거를 제공하고 지식체를 발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1.2. 성장과 발달...2024.10.18
-
의학용어 약어2024.10.271. 산과 관련 의학용어 및 약어 1.1. 분만과 관련된 용어 분만은 태아가 자궁 밖으로 태어나는 과정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가 존재한다. 먼저 "delivery"는 분만을 의미하며, "labor"는 진통을 말한다. "premature labor"는 조기 진통을 뜻한다. "fetal lie"는 태아의 위치를, "fetal attitude"는 태아의 자세를, "fetal presentation"은 태아의 자세 배열을 나타낸다. "position"은 태아의 방향을 의미하고, "cervical effacement"는 경부의 거상...2024.10.27
-
건강사정 심장2024.09.231. 심장 및 혈관 건강 사정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근육성 기관으로 흉강 중앙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4개의 공간, 즉 좌우 심방과 좌우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무게는 여성의 경우 약 255g, 남성의 경우 약 310g 정도이다. 심장의 모양은 역 원추형이며, 기저부는 좌측 제2늑간에 위치하고 있고, 첨부는 좌측 제5늑간과 좌측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 심장은 두 가지 주요 기능을 하는데, 우심장은 혈액을 폐로 보내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폐순환을 담당하고, 좌심장은 산소가 공급된...2024.09.23
-
의학용어 소화기계2024.10.14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입, 인두, 식도 구강(口腔, oral cavity)은 치아와 잇몸, 혀, 타액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의 시작 단계를 담당한다. 구강의 주된 기능은 씹기, 삼키기, 발음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혀와 턱의 운동, 타액 분비가 중요하다.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타액은 음식물을 연화시키고 소화효소를 포함하여 소화를 돕는다. 또한 타액은 구강 점막을 보호하고 항균작용으로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인두(咽頭, pharynx)는 식도와 기관의 시작 부분으로 호흡과 ...2024.10.14
-
병리학 기말고사2024.12.071. 호흡기계통 질환 1.1. 상기도 질환 1.1.1. 코염(비염) 코염(비염)은 코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코 점막이 붓고 수양성 또는 화농성 콧물이 나오는 증상이 나타나며, 재채기, 코막힘, 후각 감퇴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급성으로 발병하거나 만성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코염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알레르기 반응이다. 주요 알레르겐으로는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및 비듬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에 면역체계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염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알레르기성 코염 외에도 감...2024.12.07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1.301. 정형외과 용어 1.1. 구조 및 기능 1.1.1. 척추기둥 척추기둥은 인체의 중심축으로, 총 33개의 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골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5개, 미골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기둥은 신체를 지지하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경추는 목 부분에 위치하며, 두개골과 연결되어 머리의 움직임을 돕는다. 흉추는 가슴 부위에 자리하고 갈비뼈와 연결되어 흉곽을 형성한다. 요추는 허리 부분에 위치하며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천골과 미골은 골반 부위에 있으며 골반...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