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청소년 질풍노도 시기2024.10.051. 청소년기 정서발달 1.1. 질풍노도의 시기 청소년들은 정서가 매우 강하고 변화가 심하며, 극단적인 정서경험을 한다. 이들은 낙관적, 비관적 감정이 교차하기도 하고 자부심과 수치심을 강하게 경험하기도 한다. 또한 부모나 형제, 친구들과 공유할 수 없는 감정의 경험을 통해서 고립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 시기는 또한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는 시기이다. 특히 우울한 기분은 청소년기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청년 중기에 절정에 이르고 청년 후기부터 점차 감소한다. 또한 15세부터 24세 연령 집단에서 정신과적 장애의 발생비율도 가장 높다. ...2024.10.05
-
괴테 재탄생2024.10.281. 청소년의 역사적 이해 1.1. 고대와 중세시대의 청소년 고대와 중세시대의 청소년은 당시 사회 구조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했다. 고대 희랍 시대에는 청소년의 본질에 대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학자들이 주목했다. 플라톤은 청소년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의 이성 발달에서 이 시기가 가장 높은 차원의 초기 발달이라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 또한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을 구분하며, 청소년 초기의 불안정성과 자기통제능력 부족, 후기 청소년기의 자기통제능력 개선 등을 지적했다. 그러나 중세 시대에는 청소년에 대한 편협한 ...2024.10.28
-
사모아의 청소년2024.11.091. 청소년 연구에 대한 역사적 조망 1.1. 희랍 시대 초기 희랍 시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젊은이의 본질에 대해 언급하였다. 플라톤은 "공화국(The Republic ; B.C. 4세기/1968년 번역)"에서 인간발달(그는 "영혼"이라고 함)의 3가지 국면을 욕망, 정신, 이성이라고 하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성(가장 높은 차원)은 아동기에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오늘날 청소년기라고 부르는 연령 시기에 최초로 발달한다. 그러므로 아동기의 교육은 스포츠와 음악만으로 충분하며, 청소년기가 되면서 이성 즉, 합리적 사고...2024.11.09
-
나폴레옹 일대기와 업적2024.12.011. 서론 독일의 대표적인 시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1749년 8월 28일 마인 강변에 있는 프랑크푸르트 자유시에서 유서 깊은 명문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25세 때 발표된 그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일약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전 유럽을 휩쓸며 유행을 불러일으켰고, 나폴레옹이 7번이나 탐독하였다는 일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괴테는 이후 바이마르로 향하여 아우구스트와 합심하여 독일 역사상 유례없는 문화적 융성을 이룩하게 된다. 이곳에서 그는 《이피게니에》와 같은...2024.12.01
-
청소년을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정의한 학자가 있다. 학자의 말처럼 청소년이 질풍노도의 시기인가? 아니면 우리사회 청소년들을 질풍노도의 시기로 만든 것은 아닌가? 오랜시간 문화적 환경에 아비투스(구조화)되어 있는 사회에 강제로 맞춰져야 하기 때문에 청소년을 질풍노도의 시기로 보는 것은 아닌지? 자유롭게 토론합시다2024.08.141.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1.1. 청소년의 개념 1.1.1. 학자들의 관점 청소년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은 다양하다. 민영순(1985)은 청소년을 "주변인(marginal man) 또는 중간인"으로,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에 속하는 "유예(猶豫, moratorium)기간"이라고 보았다. 즉 청소년기는 아동으로 취급받기도 하고 때로는 성인대우도 받는 시기라는 것이다. 권이종(1991)은 청소년에 대한 견해를 심리학적, 생물학적, 사회복지적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청소년기를 정신분석과 인지발달이론을 적용하여 아동...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