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생명공학의 최전선2024.09.141. 생명공학의 발전과 미래 1.1. 생명공학의 현주소와 주목받는 이유 생명공학은 인류의 삶과 미래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수십 년간 생명공학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생명공학은 단백질, 유전자, mRNA 등 생명의 기본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조작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질병 치료, 신약 개발, 농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와 mRNA 백신 기술은 생명공...2024.09.14
-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생물 채취 후 현미경 관찰 실험 방법2024.10.051. 미생물 관찰 및 분리 기법 1.1. 현미경의 사용과 미생물 크기 측정 현미경의 사용과 미생물 크기 측정은 미생물 관찰 및 분리 기법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현미경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미생물의 일차적인 구조와 세포학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기구이다. 따라서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관리법, 그리고 적절한 사용법에 대한 이해와 숙달이 요구된다. 현미경은 그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를 갖고 있는데, 실험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였다. 광학현미경은 염색된 표본이나 대비가 강한 시료...2024.10.05
-
임상병리사 혈액2024.10.041. 임상병리검사의 개요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와 목적 임상병리검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병리검사의 정의는 기초과학과 기초의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환자의 검체를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후 판정 등을 지원하는 학문이다. 즉, 환자의 상태와 질병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2024.10.04
-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2024.09.191. 생명공학의 이해 1.1. 생명공학의 개념과 발달 생명공학은 생물체의 구조, 기능, 생리 등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는 학문이다. 생명공학은 20세기 말부터 급속도로 발전하여 유전자 조작 기술, 신약 개발, 질병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생명공학의 개념과 발달을 살펴보면, 생명공학은 생물학, 화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하여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생물학적 현상에 대한 기초 연구에 집중하였으나, 점차 응용 기술 개발로 발전해나갔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유전자 재조합 ...2024.09.19
-
인간게놈 프로젝트2024.10.061. 인간게놈프로젝트 개요 1.1. 프로젝트의 시작과 목표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처음으로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왓슨의 책임 하에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으로 구성된 다국적 팀인 국제인간게놈 컨소시엄에 의해 1990년에 시작되었다. 그 이후 미국의 생명공학 벤쳐기업인 셀레라 제노믹스 회사가 합류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사람을 구성하는 100조개의 세포들의 각 핵에 들어있는 23쌍의 염색체 중 성염색체인 X와 Y, 그리고 22개의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약 31억 2천만 개의 염기쌍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사람의...2024.10.06
-
수지침2024.10.161. 수지침의 개요 1.1. 수지침의 정의 수지침은 손목에서 손끝까지 총 345개의 새로운 자극처(刺戟處)를 정하고, 여기에 가는 침 [세침(細鍼)]으로 1㎜ 정도의 자극을 주어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원래 명칭이 '고려수지침술(高麗手指鍼術)'이다. 즉, 수지침은 손(手)에서 손가락(指)을 사용하여 침(鍼)을 놓는 치료법을 말한다. 1.2. 수지침의 특징 손에는 전신에 해당하는 부위가 있어서 질병이 발생하면 해당되는 부위에서 여러 가지의 반응점이 나타난다. 이 반응점에 자극을 주어 내장반사(內臟反射)를 일으켜서 질병을 ...2024.10.16
-
생명과 약의 연결고리2024.09.301. 의학관련 도서 소개 1.1. 누구 먼저 살려야 할까? (제이콥 M. 애펠) '누구 먼저 살려야 할까'라는 책은 현대 의료계에서 직면하는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알기 쉽게 풀어낸 훌륭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을 토대로 의과대학 학생들과 수련의들이 토론 주제로 삼으면 좋을 내용을 정리해 놓았다. 암의 생물학적 표적 치료, 착상 전 유전자 선별검사, 장기이식 등 의료계에 등장하는 획기적인 신기술의 개발로 인해 현장에서 의사들이 어떤 고민을 하게 되고 어떤 선택을 내려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2024.09.30
-
동물실험 반박2024.09.301. 동물실험의 개요 1.1. 동물실험의 개념 동물실험이란 인간이 의학과 생명현상 연구 및 과학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동물을 이용한 의학적인 실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물실험은 인간의 유전적인 특징, 성장과정, 행동 양식을 관찰하는 순수 조사뿐만 아니라 약물 반응 검사, 이종이식, 독극물 반응 검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동물실험은 현대 과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19세기부터 동물실험이 독성학, 생리학 등의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며 근대 실험 의학의 기초를 다져왔다. 프랑스의 생리학자 클로드 베르나르는 동물에 대한 실...2024.09.30
-
삶에약이되는약이야기2024.10.171. 약의 기능과 역사 1.1. 약이 하는 기능 약은 인체(생물)의 정상적인 생리과정에 영향을 미쳐 질병의 진단, 예방,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이다. 약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쳐 생리적 기능을 변화시킨다. 또한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등 다양한 작용을 통해 질병 치료에 기여한다"이다. 1.2. 역사를 바꾼 약 페니실린은 인류의 역사를 바꾼 대표적인 약물이다.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이 페니실린을 처음 발견하였는데, 이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로 활용되었다. ...2024.10.17
-
크리스퍼2024.11.241. 유전자가위 기술 1.1. 1세대 유전자가위: 징크핑거 뉴클레이즈(ZFNs)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에서 손가락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기다란 고리 모양으로 DNA에 단단히 결합하는 단백질이 처음 발견되었다. 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해본 결과, 고리의 중심에는 아연 이온이 안정되게 위치하고 있었다. 이 구조로 인해 징크핑거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DNA 결합단백질의 DNA 결합 영역이 가지는 입체구조로 밝혀졌으며, 효모부터 영장류와 같은 다양한 생물종에서 전사조절인자에 징크핑거가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징크핑거는 특정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