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진로진학2024.09.301. 직업·진로설계의 이론과 실제 1.1. 진로상담이론의 이해 1.1.1. 수퍼 이론 Ginzberg와 함께 발달적 관점에서 진로 이론을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가 Super이다. 그는 전 생애-생애 공간 이론(life-span, life-space theory)을 통해서 진로발달이 아동기부터 노년기까지 전생에 걸쳐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Super는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과 직업선택(career occupational choice)을 구분하여 설명하였는데 진로발달에서는 직업 선택의 문제뿐만 아니라 일의 세...2024.09.30
-
직업상담사2급 암기노트 직업심리학2024.10.101. 직업심리학 1.1. Ginzberg의 진로발달단계 Ginzberg의 진로발달단계는 진로선택에 대한 개인의 발달적 변화를 설명한 대표적인 이론이다. Ginzberg는 개인의 진로발달과정을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 등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째, 환상기(6~11세)는 개인의 욕구와 환상이 주도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은 자신의 능력과 현실적인 제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장래 직업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된다. 둘째, 잠정기(11~18세)는 현실적인 요인을 고려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개인은 자신의 능력과 흥미...2024.10.10
-
슈퍼(super)가 제시하는 직업관련 자아개념의 형성단계 중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계를 2가지 이상 선택하여 그 단계의 특성과 직업 관련 행동을 설명하고 단계별 중요성에 대하여 자기주장을 하시2025.03.051. 서론 1.1. 수퍼의 직업발달이론에 대한 배경 수퍼의 직업발달이론은 긴즈버그의 이론을 보완하고 발전시킨 이론이다. 긴즈버그는 진로선택을 개인의 단일 의사결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발달과정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개인이 원하는 바와 직업이 이루어질 가능성 간의 타협이 이루어진다. 반면 수퍼는 긴즈버그의 이론을 발전시켜 진로선택이 타협과 선택이 상호의존, 상호작용하는 '적응'과정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수퍼는 진로발달을 인간의 전 생애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보고 다섯 단계의 진로발달단계를 제시했다. 따...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