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A형간염바이러스2024.09.221. 간염 바이러스의 종류와 특징 1.1. A형 간염 바이러스(HAV) 1.1.1. 정의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는 A형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형태는 구형이며 크기는 27~32nm, 외피를 가지며, 게놈은 단일사슬 RNA이다. HAV는 피코르나비리데(Picornaviridae)과 헤파토바이러스(Hepatovirus)속으로 분류된다. 1.1.2. 감염경로 A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경로는 주로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며, 불량한 위생상태와 사람 간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감염된다. 특...2024.09.22
-
미생물학 A형간염2024.09.221. 간염바이러스 1.1. A형 간염 바이러스 1.1.1. A형 간염의 정의 및 특성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란, A형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형태는 구형이며 크기는 27~32nm, 외피를 가지며, 게놈은 단일사슬 RNA이다. 피코르나비리데(Picornaviridae)과 헤파토바이러스(Hepatovirus)속으로 분류된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를 감염시켜 간 조직의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로 인해 피로감, 식욕부진,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A형 간염은 전염성이 강한 질...2024.09.22
-
한센병미생물2024.09.101. 한센병(나병)의 개요 1.1. 정의 한센병(나병)은 인간의 가장 오래된 질병 중 하나로, 한센균(Mycobacterium leprae)에 의해 발생되는 만성 감염성 면역질환이다. 이 질병은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킨다. 특히 체온이 낮은 부위인 피부와 눈, 손, 발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주로 침범한다. 한센병이란 명칭은 노르웨이 의사인 한센(Hansen)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과거에는 나병, 가라, 풍병, 대풍라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지만, ...2024.09.10
-
비파열성 뇌동맥류2024.10.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016년 사망원인 통계에 의하면 인구 10만 명당 45.8명으로, 악성 신생물로 인한 사망, 심장질환에 이어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일 장기 질환으로는 심장질환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심각한 수준의 사망률을 보이는 질병임을 나타낸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영상의학 기술의 발달로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조기 발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뇌동맥류는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한데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는 주위...2024.10.07
-
메르스2024.10.031. 서론 1.1. 메르스 정의 메르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의 줄임말로,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이다. 2012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최초로 발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사람에게는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이다. 이에 따라 중동 지역의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주로 감염환자가 발생하여 '중동 호흡기 증후근'으로 명명되었다. 1.2. 메르스 원인 메르스의 원인은 다음과...2024.10.03
-
2020 식물보호기사 필답 요약 및 정리2024.10.021. 식물병리학 1.1. 식물병의 병징 및 표징 식물병의 병징은 감염 후 식물체의 외형 또는 생육 이상 등으로 나타나는 반응으로서 상대적인 개념이다. 식물병의 병징에는 외부병징과 내부병징이 있다. 외부병징에는 모자이크, 줄무늬, 꽃의 얼룩 등 색소체 이상, 위축, 괴저, 기형, 잎말림, 암종 등이 포함된다. 내부병징으로는 엽록체 수 및 크기 감소, 봉입체 형성(결정성 봉입체 & X체 또는 X-body라 불리는 비결정성 봉입체) 등이 있다. 또한 병징은폐 현상이 있어 한계온도 이상 또는 이하에서 바이러스를 지녔어도 병징이 나타나지 ...2024.10.02
-
구강악안면 영역의 악성 종양2024.10.091. 구강내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 1.1. 양성 종양 1.1.1. 특징 양성 종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양성 종양은 기원 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며 전이 없이 주위조직과 비교적 경계가 명료하고,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2024.10.09
-
임상 기생충2024.11.291. 기생충학 1.1. 기생충의 분류와 생물학 1.1.1. 원생동물 원생동물은 가장 단순한 구조의 진핵생물로,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동기관인 편모, 섬모, 가족족을 가지고 있다. 원생동물은 크게 근족충류, 섬모충류, 포자충류, 편모충류로 나뉜다. 근족충류에는 이질아메바, 대장아메바, 잇몸아메바, 왜소아메바, 요도아메바 등이 포함된다. 이질아메바는 대표적인 병원성 아메바로 감염될 경우 아메바성 장염, 아메바성 간농양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아메바는 병원성이 없으며 인체에 큰 해를 끼치지 않는다. 잇몸아메바는 구강에 기...2024.11.29
-
코로나19 정의2024.08.281. 코로나바이러스-19 개요 1.1.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의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지며, 유전체로서 약 30kb 길이의 단일 가닥 RNA를 가지며 표면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골프채 모양의 돌기가 왕관과 같은 코로나모양(crwon-like corona)을 형성하여 태양광한(colona) 또는 왕관(crown)모양을 다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 1.2.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역학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역학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바이러스-19는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보건위원회에서 우한시에서 발생한 설명할 ...2024.08.28
-
안정형협심증2024.09.011. 안정형 협심증 1.1. 정의 및 원인 안정형 협심증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인해 좁아져서 일시적으로 혈액량이 줄어 심장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되며, 이때 심한 흉통이 일어난다. 안정형 협심증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오며, 이로 인한 심근의 산소 부족이 흉통 유발의 주된 원인이다. 1.2. 증상 환자들의 대부분은 갑작스러운 흉통과 가슴...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