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병원 미생물학 정리2024.09.281. 미생물학 개요 1.1. 병원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은 '미생물(micro=small;bios=living;-logy=study)'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이 포함된다. 이들 미생물들은 단순한 구조와 신속한 증식력,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놀라운 적응력...2024.09.28
-
감염미생물학 중간고사2024.10.01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병원체의 종류와 특성 1.1.1.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세균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0.01~0.3 ㎛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렇게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각종 감염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이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 중 한 종류의 핵산만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증식할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생물체의 세포 내에서 증식하는 기생체이다. 바이러스의 생활사는 숙주 세포에 부착하여 침투하고, 자신의 유전체를 숙주 세포 안으로 주입하며, 숙주 세포의 기능을 이용...2024.10.01
-
감염미생물학 중간고사 문제2024.10.011. 병원 미생물학 1.1. 그람양성알균 1.1.1. 포도알균(Staphylococcus) 포도알균(Staphylococcus)은 피부나 다른 장기의 농양, 위장염(식중독)을 일으키는 그람양성알균이다. 대표적인 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그리고 사프로필러스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등이 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화농성 염증과 식중독을 유발하는데, ...2024.10.01
-
생물속생설2024.09.291. 미생물의 이해 1.1. 미생물학의 정의와 범위 미생물학(microbiology)은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한 작은 생물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생물학의 분야이다. 미생물은 세상에 편재(널리 퍼져있음)되어있으며, 인체에 감염성을 가진 미생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미생물학의 분류군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 원생동물, 조류 등이 포함되며, 특히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생물로 취급되지 않지만 미생물학에서 다루어진다. 이는 미생물학의 정의가 과학적으로 다소 명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생물학의 주요 분야로는 면역학, 공...2024.09.29
-
미생물과 인간생활2024.10.171. 미생물과 우리 인류 1.1.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1.1.1. 세균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지구상에 약 5 x 10^30개의 세균이 존재한다. 이들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병원성 세균과 유익한 세균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대장균은 장내에서 소화를 돕지만, 특정 변종은 식중독을 일으킨다. 세균은 이분법으로 증식하여 짧은 시간 내에 급격히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세균의 크기는 0.2~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이다. 세균은 소화와 면역 기능을 지원하는 유익한 역할을 한다. 장내에 서식하는 유산균과 같은 세균은 소화를 돕...2024.10.17
-
진균의정의2024.11.131. 미생물에 대한 이해 1.1. 박테리아 1.1.1. 세균의 정의 세균은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 무핵(無核)의 단세포성 생물이다. 엽록소를 갖지 않고, 세포의 2등 분열에 의해 늘어나는 생물이다. 전체 생물 중 그 수가 가장 많으며, 지구 환경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2. 세균의 특징 세균은 하나의 세포로, 동·식물보다 단순한 형태의 생물이다"" 세균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여 땅, 물, 공기, 동식물, 사람의 몸속 등에서 양분을 얻어 살아가야 한다"" 따라서 세균은 생물의 몸이나 자연환경 등 어...2024.11.13
-
enterovirus infection2024.12.091. 폐렴 1.1. 정의 폐렴은 폐포가 삼출액으로 채워져 폐조직이 경화하는 폐실질 조직의 염증성 과정이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며, 화학적 요인으로는 흡입, 흡인, 면역체계 저하 등이 있다. 또한 전신 쇠약이나 부동 등으로 인해서도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1.2. 원인 1.2.1. Microorganisms: 세균, 바이러스, 진균 폐렴의 원인 중 Microorganisms: 세균, 바이러스, 진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균성 폐렴의 대표적인 원인균은 폐렴구균(Streptococcu...2024.12.09
-
최신병원미생물학 정리2024.08.301. 병원 미생물학의 기초 1.1.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1.1.1. 바이러스 바이러스(virus)는 사람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가장 작으며, 숙주세포에 의존해야 증식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숙주범위는 사람, 동물, 식물, 세균 등으로 적어도 한 가지의 생물에 각각 다른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NA 또는 RNA 중에 한 종류의 핵산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이러스의 특징이다. 바이러스는 생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증식할 수 없으며, 반드시 숙주세포 내부에서 증식한다. 바이러스는 숙주세...2024.08.30
-
원충의정의2024.11.221. 미생물이란? 1.1. 미생물의 정의, 종류, 크기 미생물이란 육안으로 그 존재를 식별할 수 없어 현미경 등을 통해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생물을 말한다. 미생물은 세균(bacterium), 진균(fungus), 원충(protozoa), 바이러스(virus)로 구성된다. 각각의 크기는 원충이 10~100㎛, 진균(효모)이 5~12㎛, 일반 세균이 0.5~10㎛, 바이러스가 20~300nm 정도이다. 특히 세균으로 분류되는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는 일...2024.11.22
-
미생물과인간생활2024.09.071. 미생물과 인간 생활 1.1. 미생물의 정의와 종류 미생물은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생물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미생물은 크게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생물, 조류로 분류된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지구상에는 약 5x10^30개의 세균이 존재한다. 세균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며, 병원성 세균과 유익한 세균으로 구분된다. 대장균과 같은 일부 세균은 장내에서 소화를 돕지만, 변종 세균은 식중독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균은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증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2~10 마...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