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2024.09.231. 관찰조사의 종류 1.1. 참여관찰 1.1.1. 개념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은 관찰대상의 자연성과 유기적인 전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관찰자가 관찰대상집단 내에 들어가서 그들 집단의 일원이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시행하는 관찰이다. 예를 들어, 교도소의 죄수문제를 연구하고자하는 경우 조사자가 실제로 죄수노릇을 하는 경우라든가, 또는 인류학자들이 원주민들과 섞여 살면서 그들의 행태를 조사하는 방법 등이 여기에 속한다. 1.1.2. 특징 참여관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참여관찰은 관찰자가 관찰...2024.09.23
-
응급간호 논문 3개 요약2025.05.191. 서론 1.1.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의 중요성 응급실은 병원에 내원하는 주요 경로이며 감염 환자의 1차적 내원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는 환자와 내원객, 의료종사자의 감염을 예방하는 일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응급상황으로 인한 시간 부족과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감염 예방 행위가 적절히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2016~2017년 전국 의료관련 감염 감시체계(KONIS)의 손 위생 감시체계 운영 결과, 응급실의 손 위생 수행률은 병원 내에서 가장 낮은 73.0%로 나타났다. 이는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