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자연분만 후 산후출혈 간호 케이스2024.09.17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산후출혈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과 후기 산후출혈(late or secondary postpartum hemorrhage)로 구분된다.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의 출혈을 의미하며, 후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후부터 6~12주 사이에 발생하는 ...2024.09.17
-
전치태반 간호과정2024.09.241. 개요 1.1. 연구의 필요성 전치태반은 임신후반기 출혈성 합병증 중 하나로 고위험 임신에 해당되므로, 이번 실습을 통해 전치태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치태반은 200명의 출산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하며, 이전의 제왕절개 분만이 큰 위험요인이다. 그 외에도 다산부, 전치태반의 과거력, 유산, 자궁을 수술한 경우, 태반 부착 부위가 넓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임부 등에서 빈도가 높다. 또한 흡연은 위험도를 2배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번 실습을 통해 전치태반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간호 중재 등을 확인하고...2024.09.24
-
마취 약물2024.09.031. 마취과 약물 개요 1.1. 마취 약물의 종류 마취 약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전신마취제, 근이완제, 진통제, 항구토제, 수면진정제 등 다양한 계열의 약물들이 마취 과정에 사용된다. 전신마취제에는 흡입마취제와 정맥마취제가 있다. 흡입마취제에는 Sevoflurane, Desflurane, N2O 등이 있으며, 정맥마취제에는 Thiopental sodium, Etomidate, Propofol, Alfentanil, Fentanyl, Methadone 등이 있다. 근이완제에는 탈분극성 근이완제인 Succinylcholi...2024.09.03
-
NS수술2025.01.281. 서론 1.1. NS수술 개요 NS수술은 척추와 신경계 관련 질병 치료를 위한 다양한 수술 방법을 포함한다. NS수술은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뇌동맥류 파열 등 척추와 뇌신경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NS수술에는 신경유착박리술(Adhesiolysis), 현미경하 미세 추간판 절제술(Micro discectomy), 추궁 절제술(Laminectomy), 후방요추간 융합술(PLIF), 경피적 척추 성형술(VP/KP), 경추골유합술(ACDF), 두뇌 천공술(Burr hole Trephination) 등이 있다.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