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간호학과 생리학2024.11.091. 혈액과 면역 1.1. 혈액의 조성과 기능 1.1.1. 혈액의 조성 혈액은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액은 체중의 약 8%를 차지하며, 액체성분인 혈장과 고체성분인 혈액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전체 혈액의 55%를 차지하며 주로 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 단백질 중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등이 중요한 성분이다. 고체성분인 혈액세포는 전체 혈액의 45%를 차지하며, 이 중 대부분은 적혈구이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면역기...2024.11.09
-
1급응급구조사 생리학2024.11.121. 응급구조학과 인재상 및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1.1. 응급구조학과 인재상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의 인재상은 "정신적·육체적으로 건강한 사람", "희생정신이 투철하며 긍정적인 사고로 봉사할 수 있는 사람", "서비스정신을 가진 인재", "생명을 존중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을 가진 사람"이다. 공주대학교는 개인의 자질 계발과 지도자적 인격을 갖춘 인재를 기르고, 학문의 이론과 응용 방법을 교수하고 연구하여 국가와 지역발전, 인류 번영에 공헌할 인재를 기르고자 한다. 이에 응급구조학과는 응급환자의 생명 유지와 중대한 합병증을 ...2024.11.12
-
환자경험여정맵2025.03.311. 환자경험여정맵 1.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방광을 통해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단순도뇨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에게 단순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이때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커튼을 치고 이불을 덮어준다. 가능하다면 같은 성별의 의료인이 처치를 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하며, 다리를 개구리 모양이나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벌리도록 한다. 소독 시 차가운 느낌이 들 수 있음을 설명하고, 삽입 전 충분한 윤활젤을 바르는 등 통증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2025.03.31
-
소용2025.03.161. 혈액의 구조와 기능 1.1. 혈액계 혈액, 골수, 비장, 간은 혈액계를 구성한다. 혈액계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 발휘와 같은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전혈(whole blood)은 혈장과 혈구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은 주로 물(92%), 단백질(7%), 그리고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1%)으로 구성된다. 혈구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있다. 백혈구는 무과립구(림프구, 단핵구)와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로 나뉜다. 적혈구는 세포막(5%)과 혈색소(95%)로 이루어...2025.03.16
-
붕대법2024.09.081. 붕대법 1.1. 붕대의 사용 목적 붕대의 사용 목적은 개방성 상처를 덮은 드레싱을 고정하고, 드레싱 위로 직접 압박을 하여 지혈하는 것이다. 또한 붕대는 부종을 막거나 억제하고 사지나 관절을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붕대는 소독된 드레싱을 상처에 고정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출혈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골절이나 탈구 등의 경우 부목을 함께 사용하여 손상 부위를 고정함으로써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팔이나 다리를 어깨나 허리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1.2. 붕대 사용시 주의사항...2024.09.08
-
환자경험여정맵2025.03.181. 환자경험여정맵 1.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환자의 방광에 저장되어 있는 소변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본적인 간호 술기이다. 단순도뇨의 목적은 소변 배출과 검사를 위해 실시되며, 소독된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채취한다. 단순도뇨 수행 과정에서 환자는 자신의 노출된 회음부에 대한 수치심과 함께 절차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에게 정확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여 불안감을 해소시킨다. 소독과 삽입 과정에서도 차가운 느낌과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미리 고지하고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시...2025.03.18
-
토혈2025.03.2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토혈은 상부위장관 즉 식도, 위, 십이지장 상부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고 그 피가 상부위장관에 고인 후 고인 혈액에 의한 자극으로 구토를 하면서 피를 토하는 것이다. 토혈은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질병이다. 본 연구는 토혈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환자가 가진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 토혈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토혈은 위나 십이지장에 궤양이 생겨 1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간경화나 간암 등으로 인하여 2차...2025.03.27
-
성인간호학 혈액계 질환2025.03.251. 성인간호학 혈액계 질환 1.1. 골수의 구조와 기능 골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를 생산하는 조혈기관이다. 모든 뼈 속에 존재하며, 해면골의 내측과 장골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다. 골수는 체중의 4-5%를 차지한다. 골수에는 적색골수와 황색골수가 존재한다. 적색골수는 조혈기관으로서 혈구를 생산하는 반면, 황색골수는 지방으로 차있어 혈구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조혈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골수에서 분화되지 않은 미성숙 세포인 줄기세포를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줄기세포가 위임줄기세...2025.03.25
-
수문사 성인간호학 요약2025.02.151. 혈액계 간호 1.1. 구조와 기능 혈액계 간호의 구조와 기능이다. 조혈기관인 골수는 적혈구, 백혈구, 골수 내 조혈 줄기세포를 생성하는 곳이다. 골수는 필요 시 각 혈구세포 생성을 증가시켜 신체 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적골수는 혈관조직과 적혈구가 많아 붉은색이며, 황골수는 지방세포가 많아 노란색이다. 비장은 조혈조직으로 혈구의 생성과 파괴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 또한 중요한 여과조직이며 지혈과 응고에 필수적인 응고 인자를 형성한다. 간은 혈색소를 철분과 포르피린으로 분해하며, 빌리루빈을 담즙으로 전환...2025.02.15
-
수술기구2025.03.261. 수술기구의 종류와 특징 1.1. 절개 및 절단 기구 1.1.1. 수술용 칼날(knife/blade) 수술용 칼날(knife/blade)은 수술 시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다양한 종류의 수술용 칼날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NO. 10 칼날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칼날이다. 중간 크기의 절개나 중간 크기의 조직을 절단할 때 사용되며, 염증이나 괴사 조직을 긁어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NO. 11 칼날은 깊고 좁은 절개를 할 때 사용되며, 농양 배액 시에도 사용된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