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개
-
영화로배우는자연재해2024.10.021. 자연재해의 이해 1.1. 태풍과 허리케인 1.1.1. 태풍의 등급 및 특성 태풍의 등급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태풍은 중심 부근 최대풍속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된다. 사퍼/심슨 스케일에 따르면 중심 부근 최대풍속이 33m/s 이상인 경우 태풍(Typhoon, TY), 25~32m/s는 강한 열대폭풍(Severe Tropical Storm, STS), 17~24m/s는 열대폭풍(Tropical Storm, TS), 17m/s 미만인 경우 열대저압부(Tropical Depression, TD)로 분류된다. 중심 부근 최대풍속이...2024.10.02
-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중간 기말 모음2024.10.051. 태풍 및 허리케인 1.1. 태풍의 정의와 특성 태풍은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폭풍으로, 중심기압이 낮고 강한 바람과 집중호우를 동반하는 자연재해의 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한다. 태풍은 바람이 약하고 습도가 높으며 해수면 온도가 섭씨 26도 이상인 열대해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태풍의 발생과 강화에는 해수면 온도, 대기 불안정도, 코리올리 힘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열대 저기압이 지속적으로 상승 운동을 하며 회전하면...2024.10.05
-
프로그램계획서 지진2024.09.26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현재 2016년도와 2017년도에 지진 안전국이라 칭해지던 한국이 2차례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강한 지진은 경주와 포항을 휩쓸기 충분했고 경제적인 손실과 인명피해까지 생겼다. 이를 통해 내진의 역할이 부각되었고, 중요성이 한층 더 증진되었다. 이를 통해'내진구조들은 어떻게 흔들림을 제어해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인터넷을 찾아보니 각기 다른 방법으로 건물의 흔들림을 제어하였다. 이를 통하여'이 사실이 진실일까'라는 생각과 '이를 직접 눈으로 보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본 탐구를 진행하게 ...2024.09.26
-
원자력과 치밀가스2024.10.041. 서 론 에너지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특히 화석 연료의 고갈과 기후 변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원자력과 치밀가스(셰일가스)가 주목받는 에너지원으로 거론되고 있다. 원자력은 핵분열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탄소 배출량으로 인해 청정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한 원자력 발전은 현재까지 전 세계 전력 생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2024.10.04
-
지진방재2024.10.221. 서론 1.1. 우리나라의 재난발생 현황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조금 벗어나서 대규모 지진 가능성은 작지만, 체감지진이 끊이질 않아 평소 지진 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022년 한반도 및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77회로, 2021년 70회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사람이 직접 체감한 지진은 13회로 2021년 15회에 비해 조금 감소하였다. 규모에 따른 지진 발생 빈도는 규모 2.0~2.9가 69회, 규모 3.0~3.9가 7회, 규모 4.0~4.9가 1회였다. 디지털 관측 기간인 1999년부...2024.10.22
-
지진과 생활 한양대2024.10.221. 지진의 발생원인과 특징 1.1. 지진발생 원인 지구는 지구 내부의 변화로 인해 지각이 변하게 되며, 이러한 지각의 변화로 인해 순간적인 힘이 작용하여 단층과 같은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안 판과 태평양 판의 경계부근에 위치하고 있지만, 일본과 달리 비교적 대륙지각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발생하는 지진이 심발지진이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낮고 지진의 강도 또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진도 5 이상의 강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어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1.2. 지진파의...2024.10.22
-
생명과학 기사문 작성2024.10.211. 진로 활동 1.1. 의예과 맞춤형 진로 활동 의예과 맞춤형 진로 활동은 의학 분야로의 진출을 위해 학생들이 다양한 방면에서 역량을 기르고 경험을 쌓는 활동이다. 먼저 학생들은 의료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운다. 의예과 지원을 위해서는 성적 관리 외에도 다양한 비교과 활동이 중요하므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활동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참여한다. 이를 위해 의료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특강을 듣거나, 의료 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또한 학생들은 의학...2024.10.21
-
자연재해 레포트2024.10.201. 강의에 대한 평가 1.1. 가장 재미있었던 강의와 그 이유 제가 가장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는 강의는 5주차 '화산 이야기Ⅰ(영화_단테스 피크)' 강의입니다. 과거에 본 영화라 더 흥미가 있었고, 화산의 피해 양상과 화산재의 특성, 화산 분출물의 종류와 피해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화산재가 빠른 속도로 흘러내리며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장면이나, 화산 분출에 따른 지진해일 발생 등의 내용은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백두산과 같은 우리나라의 활화산에 대한 위험성을 새롭게 인지하게 되었고, 화산 재해에 ...2024.10.20
-
영화로보는 자연재해 기말2024.10.20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강의 1.1.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와 그 이유 저는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강의를 수강하면서 9주차와 10주차 지진재해에 관한 강의가 가장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습니다. 강의를 듣기 전 지진 규모는 어떻게 측정하는지, 어디서부터 지진이 시작되는지를 알 수 있는지 여러 가지가 궁금했었습니다. 9주차와 10주차 강의를 들으며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게 되었으며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이다보니 더 몰입해서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진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P파와...2024.10.20
-
생활속의 숫자오류2024.10.081. 수학,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원리 1.1. 종이 규격의 비밀 우리가 사용하는 종이는 제지소에서 만든 전지를 절반으로 자르고, 다시 절반으로 자르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종이를 절반으로 자르다 보면 기존의 규격과는 다른 모양이 될 수 있고, 이런 종이를 일상생활에 알맞은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일부를 잘라내서 형태를 다듬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종이와 펄프를 낭비하는 셈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일공업규격 위원회는 종이를 재단하는 과정에서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종이의 형...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