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영화로배우는자연재해2024.10.10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1.1. 재미있었던 강의 및 그 이유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과목을 수강하면서 가장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는 강의는 제5주차 강의와 제6주차 강의였다. 제5주차 강의인 '기후와 관련된 재해이야기Ⅰ(영화_투모로우)'는 과거에 직접 본 적이 있는 영화라 더욱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었고, 기후 관련 재해를 다루었기 때문에 이 강의를 듣는 취지에도 잘 부합되었다. 또한 제9주차 강의인 '화산 이야기Ⅰ(영화_단테스 피크)'도 충분히 재미있고 기억에 남았는데, 화산의 피해는 책이나 다른 미디어를 통해서만 보아왔...2024.10.10
-
생활속의 숫자오류2024.10.081. 수학,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원리 1.1. 종이 규격의 비밀 우리가 사용하는 종이는 제지소에서 만든 전지를 절반으로 자르고, 다시 절반으로 자르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종이를 절반으로 자르다 보면 기존의 규격과는 다른 모양이 될 수 있고, 이런 종이를 일상생활에 알맞은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일부를 잘라내서 형태를 다듬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종이와 펄프를 낭비하는 셈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일공업규격 위원회는 종이를 재단하는 과정에서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종이의 형...2024.10.08
-
지진방재2024.10.221. 서론 1.1. 우리나라의 재난발생 현황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조금 벗어나서 대규모 지진 가능성은 작지만, 체감지진이 끊이질 않아 평소 지진 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022년 한반도 및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77회로, 2021년 70회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사람이 직접 체감한 지진은 13회로 2021년 15회에 비해 조금 감소하였다. 규모에 따른 지진 발생 빈도는 규모 2.0~2.9가 69회, 규모 3.0~3.9가 7회, 규모 4.0~4.9가 1회였다. 디지털 관측 기간인 1999년부...2024.10.22
-
지진과 생활 한양대2024.10.221. 지진의 발생원인과 특징 1.1. 지진발생 원인 지구는 지구 내부의 변화로 인해 지각이 변하게 되며, 이러한 지각의 변화로 인해 순간적인 힘이 작용하여 단층과 같은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안 판과 태평양 판의 경계부근에 위치하고 있지만, 일본과 달리 비교적 대륙지각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발생하는 지진이 심발지진이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낮고 지진의 강도 또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진도 5 이상의 강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어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1.2. 지진파의...2024.10.22
-
영화로보는 자연재해 기말2024.10.20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강의 1.1.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와 그 이유 저는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강의를 수강하면서 9주차와 10주차 지진재해에 관한 강의가 가장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습니다. 강의를 듣기 전 지진 규모는 어떻게 측정하는지, 어디서부터 지진이 시작되는지를 알 수 있는지 여러 가지가 궁금했었습니다. 9주차와 10주차 강의를 들으며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게 되었으며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이다보니 더 몰입해서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진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P파와...2024.10.20
-
영화로배우는자연재해2024.10.021. 자연재해의 이해 1.1. 태풍과 허리케인 1.1.1. 태풍의 등급 및 특성 태풍의 등급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태풍은 중심 부근 최대풍속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된다. 사퍼/심슨 스케일에 따르면 중심 부근 최대풍속이 33m/s 이상인 경우 태풍(Typhoon, TY), 25~32m/s는 강한 열대폭풍(Severe Tropical Storm, STS), 17~24m/s는 열대폭풍(Tropical Storm, TS), 17m/s 미만인 경우 열대저압부(Tropical Depression, TD)로 분류된다. 중심 부근 최대풍속이...2024.10.02
-
원자력과 치밀가스2024.10.041. 서 론 에너지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특히 화석 연료의 고갈과 기후 변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원자력과 치밀가스(셰일가스)가 주목받는 에너지원으로 거론되고 있다. 원자력은 핵분열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탄소 배출량으로 인해 청정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한 원자력 발전은 현재까지 전 세계 전력 생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2024.10.04
-
경주병원2024.09.301. 지진과 내진설계 1.1. 지진의 개념과 특성 지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이다. 지진이 일어나는 원리는 탄성반발(elastic rebound)이다. 지층도 힘을 받으면 휘어지며 모습이 바뀌는데, 지층이 버틸 수 없을 만큼의 힘이 축적되면 지층이 끊어져 단층이 되고,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화산활동이나 폭발물에 의한 인공...2024.09.30
-
일본 토시바2024.10.311. 후쿠시마 원전 사고 1.1. 사고 개요 2011년 3월 11일, 도호쿠(東北) 지방 태평양 해저에서 규모 9.0의 일본 최대 강진이 발생하여 이 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등 13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자동정지되었다. 이후 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쓰나미에 의해 후쿠시마 제1 원전에서 일어난 방사능 누출사고이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는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오오쿠마쵸와 후타바쵸에 위치하고 있으며, 1호기에서 6호기까지 6기의 비등수형 경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후쿠시마 제2발전소는 후쿠시마현 후카바군 후지오 카쵸에 있으며 ...2024.10.31
-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중간 기말 모음2024.10.051. 태풍 및 허리케인 1.1. 태풍의 정의와 특성 태풍은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폭풍으로, 중심기압이 낮고 강한 바람과 집중호우를 동반하는 자연재해의 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한다. 태풍은 바람이 약하고 습도가 높으며 해수면 온도가 섭씨 26도 이상인 열대해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태풍의 발생과 강화에는 해수면 온도, 대기 불안정도, 코리올리 힘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열대 저기압이 지속적으로 상승 운동을 하며 회전하면...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