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공유수면 매립지의 경계설정에 관한 지방자치단체간 다툼이나 분쟁조정2024.11.101. 서론 1.1. 연구 목적 우리 사회는 과거 권위주의적 중앙집권체제 하에서 급격한 경제성장을 달성한 이후 물질만능주의와 과소비풍조, 빈익빈 부익부 현상 등 자본주의의 병폐가 심화되고, 공동체의 건전한 시민의식이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이 확고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나(우리)의 이익이나 지역의 이익에 해를 끼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는 소위 님비(NIMBY : Not In My Back Yard)현상은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우리 사회에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 사회에도 반발하고 있는 지...2024.11.10
-
경주시 방폐장 건설2024.11.291. 기피시설 건설 갈등 1.1. 논의 주제 님비(NIMBY) 현상은 '우리 집 뒷마당에는 안 된다'는 영어 표현 'Not In My Back Yard'의 앞글자를 딴 용어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는 필요한 시설이지만 그것이 자신이 속한 지역에 입주하는 것은 반대하는 행동을 말한다. '지역이기주의'라고도 표현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해당 시설이 주민들의 생활편의에는 도움이 되지만 소음, 악취, 대기오염, 치안 불안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간접자본이라고 부르는 이러한 시설들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2024.11.29
-
보편적청소년복지와 청소년복지중 본인이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쓰세요2025.01.121. 보편적 청소년복지와 선별적 청소년복지 1.1. 협의의 사회복지와 광의의 사회복지의 개념 협의의 사회복지는 일반적으로 잔여적·선별적 사회복지로서 다른 사회제도가 적정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사회복지제도가 다른 제도의 기능을 보충하는 그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회복지의 대상을 비정상적이면서 병리적 존재로 간주하여 문제의 원인이 개인에게 존재한다고 보고, 구제나 자선, 사후 치료적 서비스를 통해서 문제해결을 도모하려고 한다. 결국, 잔여적 사회복지는 대상을 사회적 약자 및 요보호대상자로 한정하는 선별적 복지이다. 이에 반해...2025.01.12
-
우리사회에서는 자신이 사는 지역사회에 장애인복지시설이나 학교가 들어설 경우 주민들이 다양한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일이 종종있다 본인은 내가 사는 지역에 장애인시설이나 학교가 건립될경우 장애인 시설건립에 대하여 찬성하는 이유2024.08.311. 서론 사건의 개요는 이렇다. 서울시교육청은 강서구 가양동 옛 공진초 부지에 지적장애인 140명이 다닐 수 있는 특수학교 설립을 2013년 이후 추진해왔다. 그러나 주민들은 "강서구 을에서 3선에 성공한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의 공약대로 한방병원을 건립해야 한다"라고 요구하고 있다. 수차례에 걸친 주민 토론회에서 양쪽은 고성과 야유를 주고받으며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고 장애아동을 키우는 학부모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리며 주민들 앞에 학교 설립을 양해해달라고 무릎까지 꿇으며 큰절을 했다. 그 후 일 년이 지난 2018년 9월...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