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보건정책2024.09.191. 서론 1.1. 정신보건의 역사적 배경 1.1.1. 미국의 정신보건 역사 미국의 정신보건 역사는 다음과 같다. 1884년 이전 정신질환자들은 귀신이 들렸다고 생각하여 대부분 집이나 감옥 또는 보호시설에서 의학적 치료 없이 수감되고 있었다. 당시에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정신질환자들은 감옥소에 수용되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농장과 같은 보호시설에 추방되었다. 이 시기에도 정신장애자에 대한 관리는 이들을 돌보아 준다는 사회복지 및 공중보건적인 정책과 이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킨다는 사회적 조절 정책의 씨앗이 보였다. 동시에 점...2024.09.19
-
법의정신간호2024.10.011. 정신건강간호의 윤리와 법 1.1. 간호윤리 1.1.1. 윤리의 개념 윤리란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옳고 그른 것에 대한 철학적 신념"이다. 윤리는 개인이나 집단이 정한 준칙이나 규범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인간의 행위와 태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즉, 윤리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을 의미한다. 윤리는 개인적 차원에서 형성되지만,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발전해 왔다.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사회적 규범과 가치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용인되...2024.10.01
-
환청 체험 성찰일지2024.10.171. 정신질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1.1.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필요성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알코올중독 접근방법이 장기 입원중심의 정신병원에 절대적으로 치우쳐 있으며 치료 역시 음주를 중단하는 것과 수용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원치료 후 3개월 이내에 50-60%가 재발하고 6개월 후에는 80.3% 이상이 재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가족주의적인 전통이 강한 편이고 알코올중독에 대한 가족의 인식이 아직 낮아 일차적 보호부담의 정도 역...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