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문화안전소방위원회2024.09.131. 서론 현대사회는 기후변화, 경제적, 사회적 변경 등 재난환경이 변화하면서 재난으로부터 안전은 중요한 국가정책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사회안전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나타나고 있다. 안전문제가 일상화되면서 안전은 하나의 생활문화가 되었으며 안전을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안전문화가 정착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세월호부터 작년 할로윈 사고까지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2024.09.13
-
재난2024.10.131. 재난관리의 이해 1.1. 재난의 개념과 특성 재난은 어원적으로 'dis'는 불일치의 뜻이며, 'aster'는 라틴어로 'asrrum' 또는 'star'라는 의미로, 별의 배열이 맞지 않아 생기는 재앙(calamity)이라는 뜻이다. 즉 "인간의 잘못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 이해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재난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일어나는 자연재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인위적 사고가 재난의 개념에 포함되게 된 것은 현대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정립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재해 또는 재난의 예방적 측면이 강조되...2024.10.13
-
애민6조 독후감2024.10.121. 소개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전라남도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저술한 책으로, 지방의 목민관으로서 백성을 다스리는 요령과 본보기가 될 만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서이다. 정약용의 부친이 여러 고을의 지방관을 지낼 때 정약용이 따라다니며 견문을 넓혔고, 정약용 자신도 지방관 및 경기도 암행어사를 지내면서 지방행정의 문란과 부패로 인한 민생의 궁핍을 체험한 바 있었기에 이와 같은 저술이 가능했다고 보여진다. 『목민심서』는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뉘어 모두 72조로 엮었다. 「부임(...2024.10.12
-
지방자치 역사2024.11.181. 지방자치의 역사와 법 개정 1.1. 탐구 배경과 제재 설정 탐구 배경과 제재 설정은 전 세계가 현대에 들어서도 계속해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전염병들, 특히 코로나-19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고, 이를 계기로 필자는 과거 지방자치의 변천 과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00년과 2000년대 지방자치의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각 시대의 사회 문제와 대응 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더 나은 지방자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2024.11.18
-
지방자치역사2024.11.181. 지방자치의 역사와 발전 1.1.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의 역사 1.1.1. 고대와 중세시대의 지방자치제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고대에는 지방 지배구조가 형성되어 지방 지배자가 지역을 통치하고 지역 사회를 조직하였다. 이들 지방 지배자들은 중앙정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부여받아 지역에서 자율적인 통치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는 중앙집권적인 통치 구조 아래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반적인 통제력은 중앙 정부에 의해 행해졌다. 즉, 고대의 지방자치제는 형식상 자치...2024.11.18
-
목민심서 서평2024.12.311. 다산 정약용과 『목민심서』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 이후 과거 준비 시기 다산 정약용은 출생 이후 부친의 임지인 전라도 화순, 경상도 예천 및 진주 등지를 따라다니며 부친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우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16세가 되던 1776년에는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는데, 이때 부친의 벼슬살이 덕택에 서울에서 살게 되어 문학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치던 이가환과 학문의 정도가 상당하던 매부 이승훈이 모두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도 이익의 유서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는 정...2024.12.31
-
주민센터 건축2024.09.021. 동사무소의 개념과 기능 변화 1.1. 동사무소의 개념 동사무소는 정부와 국민(주민)을 연결시켜주는 지방행정의 최일선 기관이자 주민사회 단위"이다. 과거의 동사무소는 상위 기관인 시/군/구청사가 포괄하지 못하는 하위지역(읍/면/동)의 대민행정(對民行政)을 이행하는 관공서로서, 다분히 권위적이고 천편일률적인 구성과 밋밋한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중앙집권행정에서 지방분권행정으로 체제가 변화하고 각 자치단체의 지역 커뮤니티(community)를 형성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관공서 건물에도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2024.09.02
-
지방자치 주민참여제도 개선방안2024.09.031. 서론 지방자치는 궁극적으로는 주민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봉사해야만 하고 주민의 의사에 따라서 실시되는 것이 이상적인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행정의 의사형성에는 가능한 한 광범하게 각계각층의 주민이 참가하도록 하여 정책결정에 이것을 반영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를 위해서 홍보활동의 강화와 행정정보공개는 필수이다"" 주민이 행정에 참가하여 의견을 말하는 기회가 주어지더라도 행정의 현상 및 문제의 소재를 충분히 알고 있지 않으면 정확한 발언을 할 수가 없다"" 민주행정의 실현을 위해서는 행정측이 비밀주의를 배제하고 홍보활...2024.09.03
-
특급소방안전2025.02.051. 서론 1.1.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1945년~1961년 대한민국이 해방되고 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수많은 재난과 재해가 발생했지만 기록과 대책이 부실했다. 1948년 내무부가 재난정책의 주관부처가 되어 건설국 이수과가 풍수해대책을, 치안국 소방과가 소방대책을 맡았다. 이 시기 화재와 풍수해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으며, 1959년 태풍 사라로 인해 750명의 사망자와 662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1960년 이전까지 풍수해 관련 법령이 부재했으나, 1961년 태풍 사라 이후 국토건설청을 신설하고 하천법을 제정하...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