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개인의 식생활2024.09.181. 서론 식생활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위와 관련이 되는 모든 생활 활동을 의미한다. 어떠한 경우에 무엇을 하고 어떻게 먹는가를 경정하게 되는 것은 그 사회에서 문화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이러한 식생활을 하는 목적으로는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고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소를 공급받기 위해서, 식생활을 통해 정신적인 만족감과 안정을 얻어 생활 전반 깊이와 폭을 풍성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영양섭취 급식 측면만이 아닌 사람, 시간, 공간, 물질, 기술 등의 상황과 관계를 확인하게 되는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어야 식생활을 ...2024.09.18
-
문학에서 드러난 세계의 지리 특징과 그에 따른 문화적 차이2024.10.051. 중국문화의 다양성 1.1. 남방-북방의 구분 기준 지리적 환경은 인간집단들이 모여 살기 시작한 때부터 그들의 생활방식에 영향을 미쳐 온 가장 오래된 요소이다. 중국의 남방과 북방을 구분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남방과 북방의 구분 기준은 화이허(淮河)를 기준으로 구분이다. 이 구분은 매우 오래된 것이다. 화이허를 기준으로 한 이 구분 자체는 자연환경의 차이에 관한 것이었지만 화이허 이남과 이북의 문화적 차이로 확대 적용되기도 한다. 화이허는 중국의 1월평균 기온 0℃선, 연평균 강수량 800mm선, 농작물 생장 기간 225일...2024.10.05
-
유럽의음식문화2024.10.141. 유럽 음식문화의 특징 1.1. 음식 문화의 개념 음식 문화의 개념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양식이다. 음식은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는 수단을 넘어서 그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상징적 의미와 가치관을 담고 있다. 음식 문화는 한 사회 또는 집단 구성원들이 습득하고 공유하며 전달되는 식습관의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어떤 음식을 섭취하는가에 그치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 조리하고 가공하며, 상차림과 식기 도구 등의 사용 방식까지도 포함된다. 각각의 요소에는 그 사회의 자연적, 사회...2024.10.14
-
쇠가 유럽, 아시아 성공에 미친 영향2024.10.131. 총, 균, 쇠 1.1. 우월한 사회가 다른 사회를 정복하는 것이 아니다 는 세계 곳곳의 사회들이 왜 서로 다르게 발전했는지, 왜 그 차이가 다른 민족을 정복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13,000년의 긴 역사를 통해 설명하려고 한 책이다. 특히 유라시아 군대가 남북 아메리카 원주민을 정복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했다. 문화, 생물, 지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자들이 오랫동안 사회 진화론을 연구해왔지만, 각 연구는 사회 진화론이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만 바라보았다고 할 수 있다. 사실에 입각하기보다는 특정 집단의 가치를 강조하며 편향된 시각...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