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논증이 아닌것들2024.09.131. 논리와 추론 1.1. 참, 거짓 판단 및 타당성 검토 참, 거짓 판단 및 타당성 검토는 논증의 타당성과 건전성을 검토하는 것을 말한다. 우선,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고, 이후 논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타당한 논증이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반드시 참이 되는 논증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건전한 논증이란 전제와 결론이 모두 참인 논증을 말한다. 첫째, 주어진 진술에 대한 참, 거짓 판단을 해보자. 1번 진술 "하나의 문장을 통해 여러 진술이 나타날 수 있다."는 참이다. 문장에는 명시적인 의미 외에도 암시적인 의미가 ...2024.09.13
-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고있는 우주2024.10.011. 인류 우주관의 변화 역사 1.1. 천동설 1.1.1. 에우독소스 에우독소스는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두 가지를 수정하여 자신의 이론을 만들었다. 하나는 행성의 순서이고 하나는 '수정 천구'를 도입한 것이다.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행성의 순서는 지구, 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순이었지만 에우독소스는 지구,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바꾸었다. 금성과 수성을 태양 궤도 안에 배치한 것인데 이것은 천동설 천체 모형의 기초가 되었다. 에우독소스는 각각의 단순한 주기적 운동을 ...2024.10.01
-
서구근대2024.10.22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과 만인의 제사장 교리 1.1.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1517년 10월 31일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부착되어 발표되었다. 루터는 이 반박문에서 로마 카톨릭 교회의 부패와 면죄부 판매 행위를 강력히 비판하였다. 루터는 면죄부가 그리스도교 신앙과 상충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황이 누군가를 연옥에서 구출할 수 있는 권세가 있다면 모조리 다 꺼내고 연옥을 폐쇄하는 것이 사랑의 도리 아닌가? 돈을 받고 숱한 사람을 구원하다는데 거룩한 사랑으로 ...2024.10.22
-
서구근대2024.10.231. 서구 근대의 초상: 이성과 신앙 1.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유럽을 중세로부터 끊어내고 근세로의 진입을 이끌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카톨릭 교회와의 싸움을 격화시켰고, 대중의 폭발적인 지지를 받았다. 비텐베르크 성 교회는 종교개혁의 시작과 전개과정을 보여주는 "정신적 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루터의 독일어 성경 번역은 유럽 여러 민족의 잠자던 의식을 깨웠다. 루터가 제시한 "만인 제사장 교리"는 평신도들의 의식을 일깨워 주었고, 이는 서구 근대 문명의 주체인 개인의 탄생을 알리는 계기...2024.10.23
-
서구 근대의 초상2024.10.231. 서구 근대의 전환 1.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유럽을 중세로부터 끊어내고 근세로의 진입을 이끌었다.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교회 정문에 '95개조 반박문'을 붙이면서 종교개혁을 선언했다. 그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통해 하나님과 직접 만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당시 발달하던 인쇄술이 성경책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로마 교황청에 맞서 부패한 로마 가톨릭에 도전했고, 이는 대중의 폭발적인 지지를 받았다. 비텐베르크 성 교회는 종교개혁의 ...2024.10.23
-
밀턴과 청교도주의2024.10.09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95개조 논제와 비텐베르크 교회 마르틴 루터(1483-1546)는 1517년 10월 31일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95개조 논제"를 붙이면서 종교개혁을 시작하였다. 루터는 면죄부 판매와 카톨릭 교회의 부패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을 담아 당시 성직자와 성도들의 관심을 끌었다. 루터의 95개조 논제는 곧바로 출판업자들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 신속하게 전파되었다. 비텐베르크 성 교회는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한 중요한 장소이다. 이 교회는 신앙과 믿음, 개혁을 낳은 "정...2024.10.09
-
ppt2024.08.12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1.1.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마르틴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95개조의 반박문을 게시하면서 종교개혁을 시작했다. 이는 중세 유럽 사회에 큰 울림을 주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당시 카톨릭 교회가 판매하던 면죄부에 대한 비판이 골자였다. 면죄부는 돈을 내면 죄가 赦免된다는 믿음으로 교회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 그러나 루터는 이를 부패한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오직 신앙과 진실된 회개를 통해서만 죄가 赦免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95개조 반박문은...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