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최후변론2024.10.011. 형사소송법의 공판준비 및 공판 절차 1.1. 공판준비 절차 1.1.1. 공판준비 절차의 개념 공판준비 절차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공판준비 절차는 향후 공판이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는 절차이다. 공판준비기일을 통해 검사와 피고인 또는 그의 변호인이 만나 앞으로 공판에서 다루어질 쟁점과 증거의 법적 효력에 대해 논의하고 의견을 조율한다. 피고인의 출석은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피고인을 소환할 수 있다. 또한 변호인도 자신의 방어권 행사를 위해 자발적으로 공판준비...2024.10.01
-
최후진술2024.10.011. 서론 공판준비기일과 공판기일은 형사소송의 피고인 입장에서는 죄를 선고 받느냐 선고 받지 않느냐, 즉 유죄이냐 무죄이냐, 그리고 만약 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자기 죄에 대한 벌을 얼마나 받을 것이냐(양형의 문제)가 결정되는,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생명과 신체, 자유, 명예, 재산에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되는 중요한 시간이고 과정이다. 한편 검찰의 입장에서는 사법 정의를 실현하고 사회 안정을 위해서 죄를 범한 사람이 그에 합당한 대가를 치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양측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에 공판준비와 공판 절차는 대...2024.10.01
-
모의재판2024.10.121. 음주운전사건 재판 1.1. 소송당사자 등 출석 확인 재판장은 피고인과 변호인이 모두 앞으로 나와 주도록 요청하였다. 검사와 변호인이 각자 출석한 사실을 밝혔다. 재판장은 피고인에게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였다. 피고인은 자신의 성명, 생년월일, 주소를 밝혔고, 직업이 회사원임을 밝혔다. 이로써 소송당사자 등 출석 확인이 이루어졌다. 1.2. 기소요지 및 의견진술 검사는 피고인이 하루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평범한 회사원이었지만, 2016년 3월 21일에 회식을 마치고 만취한 상태에서 피해자인 +++씨를 치는 교통사고를 일으켰다고 기소...2024.10.12
-
피고인최후진술2024.11.301. 형사소송법상 공판준비절차와 공판기일 절차 1.1. 공판준비절차 1.1.1. 공판준비절차의 개념 공판준비절차의 개념은 향후 공판이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첫 공판이 열리기 전에 검사와 피고인 또는 그의 변호인이 만나서 앞으로 전개될 공판에서 어떤 쟁점을 다룰 것이며 어떤 증거의 법적 효력을 다툴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조율하는 절차이다. 피고인의 출석은 필수조건은 아니지만,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피고인을 소환할 수 있고, 변호인 스스로도 자기의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해서 공판준비기일에 출석...2024.11.30
-
피고인 최후변론2024.08.291. 공판준비절차와 공판기일의 절차 1.1. 공판준비 절차 1.1.1. 공판준비 절차의 개념 공판준비 절차의 개념은 향후 공판이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첫 공판을 열기 전에 검사와 피고인 또는 그의 변호인이 모여서 앞으로 전개될 공판에서 다룰 쟁점과 증거의 법적 효력에 대해 의견을 조율하는 절차이다. 피고인의 출석은 필수조건이 아니므로 피고인이 선임한 변호사가 있다면 피고인은 공판준비기일에 참석할 필요가 없다. 다만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피고인을 소환할 수 있고, 변호인 스스로도 자신의 방어...2024.08.29
-
상해죄 최후진술서2024.08.121. 형사소송법과 입증책임 1.1. 입증책임의 의의 입증책임이란 사실의 인정을 위해 증거를 제출할 책임을 의미한다.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1항에서는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검사 측에서는 피고인의 유죄를, 피고인 측에서는 피고인의 무죄가 사법부에 의해 받아들여지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재판관을 설득하는 것이 사실의 인정이며, 이 때 증거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증책임은 증거를 통한 사실의 입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형사소송에서는 원칙적으로 검사가 입증책임을 부담한다...2024.08.12
-
법원 보정권고문2024.08.311. 민사재판의 개요 1.1. 민사재판의 의의 사람들 사이에 이해관계가 충돌하여 분쟁이 생기면 원시시대에는 스스로의 힘에 의하여 이를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문명사회에서는 힘으로 분재을 해결하는 것이 금지되어 국가기관인 법원이 분쟁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분재을 조정, 해결해 주도록 되었는데 그 절차를 민사소송이라 한다. 이처럼 민사재판은 사법상(私法上)의 권리나 법률관계에 관한 법률상의 다툼이 있는 사건과 기타 민사사건에 대하여 법원이 심리(審理)하여 법률적으로 판단하는 일이다. 이는 형사재판 ·행정재판 ·선거재판 또는 탄...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