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감염병 시설 메뉴얼2024.09.161. 서론 1.1. 감염병 위기의 유형 감염병 위기의 유형은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르면 해외에서 새롭게 나타난 감염병의 국내 유입 및 전파와 국내의 원인불명하고 재출현하는 감염병들의 발생 또는 확산한 경우로 구분된다. 해외에서 새롭게 나타난 감염병이 국내에 유입되어 전파되는 경우에는 질병의 중증도와 전파 경로를 고려하여 위기경보를 발령하게 되며, 이때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일일, 주간, 월간 단위로 국·내외의 감염병 동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원인불명하고 재출현하는 감염병들이 발생하거나 확산하는...2024.09.16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조직병리학2024.10.021. 감염병 관리체계 비교 1.1. 국내 감염병 관리체계 1.1.1. 메르스 국내 관리체계 우리나라의 감염병 분야 재난관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한다. 국민 안전처는 재난·안전 분야 총괄·조정관으로서 보건복지부의 재난 수습을 지원한다. 제도적으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등이 대응과 수습의 근간이 된다.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서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의 위기경보수준에 따라 관련 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다. 주의 및 경계단계에서는 질병관리본부 내 중앙방역대책본부...2024.10.02
-
코로나19와 우리나라 보건 간호2024.11.06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사태와 대응에 대한 평가 1.1. 우리나라의 대처 우리나라의 대처는 질병관리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와 보건복지부-중앙사고수습본부가 중심이 되어 다학제적 팀을 이루어 코로나19에 대응했다"" 중국 우한에서 보고된 코로나19는 초기에 '제1급감염병 신종감염병 증후군'을 적용하여 대응함으로써 조기 인지와 발생양상 파악, 신속한 역학조사, 환자와 접촉자 관리, 환경관리를 통해 전염의 확산을 줄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운영하며 역학조사, 방역, 긴급상황 대응 등을 지원했고, 보건복지부는 중앙사고수습...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