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격조사2024.11.111. 중세국어 특수조사(보조사) 연구 1.1. 서론 특수조사는 격조사와 함께 국어의 조사를 구성하며 보조사라고도 한다. 보조사는 격조사와는 달리 명사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부사나 용언의 활용형 등에도 결합하여 의미를 더한다. 보조사와 격조사의 분류, 혹은 세분 여부는 학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보조사의 종류와 의미 분류는 다양한데, 대조의 은/는, 단독의 만/뿐, 역시의 도, 시작/먼저의 부터, 미침의 까지, 추종의 조차 등이 있다. 중세국어의 보조사에 대한 연구는 허웅(1975)과 김진형(19...2024.11.11
-
중세국어2024.08.291. 중세국어 문법 1.1. 문자와 문헌 중세국어의 문자와 문헌은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 시기의 대표적인 문자인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년) 12월에 창제되었다. 훈민정음은 중국의 문자와는 달리 우리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자신들의 뜻을 잘 펼칠 수 없었음을 불쌍히 여겨 스물여덟 자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이는 백성들이 날로 쉽게 쓸 수 있게 하려는 실용정신에 기반한다. 해례본에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기본자의 원리, 그리고 문자의 운용 방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2024.08.29
-
중세국어용비어천가2024.09.131. 중세국어의 특징 1.1. 음운 체계 1.1.1. 자음 체계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는 총 16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음 계열에는 'ㅂ, ㄷ, ㅈ, ㅅ, ㆁ, ㄱ, ㅎ'이 있었고, 경음 계열에는 'ㅃ, ㄸ, ㅉ, ㅆ'가 있었다. 또한 격음 계열에는 'ㅍ, ㅌ, ㅊ'이 있었다. 이 외에도 'ㄹ, ㅁ, ㅂ'의 유음 및 비음 자음이 존재하였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ㅸ'과 'ㅿ'이라는 독특한 자음들이 존재하였다. 'ㅸ'은 순경음 비읍(非읍)으로 발음되었고, 'ㅿ'은 ...2024.09.13
-
표준중세국어문법론2025.04.131. 서론 1.1. 표준중세국어문법론의 개요 중세국어의 체언과 조사, 대명사와 수사, 복수표시법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는 시기가 표준중세국어이다. 체언에는 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등의 유형이 있고, 대명사에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있다. 또한 복수표시법에서는 중세국어의 고유한 특징들이 발견되는데, 겸사말과 공대말의 복수 표현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통해 당시 국어의 문법적 체계와 언어 사용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1.2. 국어의 체언과 조사 명사는 사물의 이름을 표시하는 말로, 중세국어에서 '므스...2025.04.13
-
중세국어 문법2025.07.151. 중세국어 문법 1.1. 소실자 및 달라진 문자 1.1.1. ㅸ[β] 및 연서자 중세국어의 소실자 및 달라진 문자 중 ㅸ[β] 및 연서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ㅸ[β]은 양순 유성 마찰음으로 15세기 중반까지만 사용되다가 반모음 w로 변했다. 따라서 중세국어에서의 존재기간이 매우 짧았다. ㅸ[β]은 모음 앞에서 연서자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자음과 모음을 함께 표현하는 하나의 기호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연서자들은 당시 자음체계와 모음체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서가 되었다. 특히 중세국어 시기에 ㅸ[β]은 모음과의...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