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보건관리자2024.09.171. 산업안전보건법 1.1. 법의 목적과 정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에 따르면, "산업재해"는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하며, "중대재해"는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2024.09.17
-
아차사고2024.09.141. 공정사고 조사 계획 1.1. 목적 이 계획은 ***사의 공정안전관리(PSM) 대상 설비 운전 중 발생한 사고의 조사 및 보고를 통해 사고의 근본원인 분석 및 문제점을 규명하여 나아가 개선대책을 수립 및 실시함으로써 동종 또는 유사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이 계획은 공정사고 발생 시 사고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함으로써 유사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 범위 이 규정은 ***사의 PSM 대상 공정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 폭발, 가스...2024.09.14
-
보건관리자2024.09.261. 산업안전보건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대재해"란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로서 ...2024.09.26
-
산업재해 선정이유2024.10.011. 서론 1.1. 산업재해의 정의 및 중요성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이라고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에 따라 사고 재해와 질병 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사고 재해의 주요 유형은 떨어짐, 끼임, 부딪힘, 깔림·뒤집힘, 교통사고, 물체에 맞는 사고 등이 있으며 질병 재해로는 신체 부담작업으로 인한 통증,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이나 뇌 심혈관질환, 진폐증, 직업성 암,...2024.10.01
-
현장밀착형 기업 보고서2024.12.181. 근로자의 보건문제와 산업안전보건정책 1.1. 근로자의 보건문제 1.1.1. 소음 문제 - 소음성 난청 고농도의 소음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감각신경성 난청의 일종인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소음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분류돼 근로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상황이지만, 과거 소음에 대한 경각심이 적었던 시절 이미 고농도의 소음에 노출된 수많은 근로자는 아직도 난청으로 인한 고통을 받고 있다. 1970년대부터 각종 소음 사업장에서 근무하던 근로자들이 산업 현장에서 은퇴...2024.12.18
-
보건관리자2024.08.291. 산업안전보건법 1.1. 목적 및 정의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에 있다. 즉,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이 법의 주된 목적이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2024.08.29
-
진폐증의 심각성과 연구의 필요성2024.08.301. 직업병의 이해 1.1. 진폐증의 정의 및 특징 진폐증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크기의 먼지가 숨을 쉴 때에 코, 기관지를 통해 폐로 들어가 쌓이게 된 결과로 폐가 굳어져서 기능적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질병이다. 즉, 분진을 흡입하여 폐에 생기는 섬유증식성 변화를 주된 증상으로 하는 질병을 말한다. 진폐의 종류로는 크게 규폐증, 석면폐증, 석탄광부 폐증이 있다. 주로 발생되는 직종으로 광부, 분사공, 터널 굴착공, 유리공, 광산업, 방화, 시멘트, 연탄제조공, 탄소전극제조공 등이 있다. 산재보험법 시행령 별표3에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