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조선대 일본어2024.09.19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1.1. 자음 발음의 어려움 1.1.1. 평음과 경음, 격음의 오류 한국어 자음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자음이 무성음이며, 장애음은 평음과 경음, 격음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이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 나뉘는 영어, 일본어와는 다른 양상이다. 따라서 영어와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유성음을 배제하고 무성음으로만 자음을 발음하는 것이 어렵다. 이들 언어권의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토끼, 도끼, 토기" 혹은 "불, 뿔, 풀"을 모두 같게 발음하거나,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발음하는 것을 똑같...2024.09.19
-
앞소리가 나는 겹받침의 발음 교육 방안2024.11.131. 한국어 발음 교육 1.1. 중국인의 한국어 발음 1.1.1. 중국인의 한국어 발음 특성 중국인의 한국어 발음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는 음운 체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는 교착어에 해당하여 형태소 간의 결합 과정에서 다양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반면, 중국어는 고립어로 음운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복잡한 음운 변동 규칙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또한 한국어는 19개의 자음과 21개의 모음, 그...2024.11.13
-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체계 설명2024.12.111. 한국어와 친근한 언어 1.1. 중국어와의 유사성 한국어와 중국어는 동아시아의 문화권에서 오랜 시간 동안 상호 영향을 주고받아, 구조적 유사성과 어휘적 연관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두 언어는 모두 조사를 통해 문장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어휘에서는 공통된 한자어를 많이 사용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사랑(愛)'이나 '학교(學校)'와 같은 단어들은 두 언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사용되는데, 이는 학습자가 익숙한 개념을 바탕으로 언어를 이해하고 확장해가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다만 발음 체계에서는 차이...2024.12.11
-
중국어2024.11.021. 중국어의 이해 1.1. 중국어의 정의와 개념 중국어의 정의와 개념은 다음과 같다. 중국은 다민족 다언어 국가로, 총인구의 약 91.5%를 차지하는 한족을 제외하고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이들 소수민족의 대부분은 한족과 다른 문화권에 속하며, 많은 경우 고유의 민족어와 문자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는 표준 중국어 외에도 다양한 언어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표준 중국어는 '한위(漢語)'로 불리며, 한족의 언어를 의미한다. 한위는 중국 정부에 의해 '푸퉁화(普通話)'라는 명칭으로 공식적인 ...2024.11.02
-
나의 성장과정 중국어2025.01.081. 관찰력과 상상력 1.1. 관찰력의 발휘 관찰력의 발휘는 세상을 보는 방식에서 시작된다. 관찰력이 뛰어난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작은 변화와 단서를 쉽게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력은 창의적 발상과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일상 속에서 관찰력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한 사례가 있다. 작성자는 대학생 시절 '에브리타임'이라는 앱의 고객센터에 제안을 보냈다. 당시 많은 대학생들이 밤에 스마트폰을 보면서 발생하는 눈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다크 모드' 기능을 도입해 달라고 건의했다. 작성자는 자신을 포함한 대학생들의 생활 속...2025.01.08
-
한국어 외국어 대조분석2024.08.261. 서론 1.1.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분석 필요성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분석 필요성은 두 언어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한자어 공유와 문화적 연관성으로 인해 내용적으로는 상당 부분 통하는 단어들이 많다. 그러나 형태적 측면에서는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 간 다양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언어적 차이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습자들의 발음, 문법, 어휘 습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두 언어 간 체계적인 대조분석을 통해...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