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육바라밀2025.02.071. 머리말 인간은 남의 어리석음을 발견하기는 쉽지만,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기는 어렵다. 또한 남의 죄업이 깊고 무거움을 말하기는 쉽지만, 자신의 죄업이 깊고 무거움에 생각이 미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이러한 인간의 약점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타력문의 교설은 이러한 인간의 약점을 인정하고, 인간의 무력함과 죄업의 깊고 무거움에 대한 자기성찰을 전제로 하여 펼쳐진다. 이러한 이성의 자만과 수행의 자신이 여지없이 깨어지고 무너진 자리에 남는 것은 절대자비의 손이다. 즉 절대 신앙의 길이다. 자력의 길은 자취를 감추고, 염불왕생의...2025.02.07
-
동서양고전이해2 교재(2021) 원효 대승기신론 독후감2025.04.131. 소개 지은이 소개: 원효(元曉, 617~686) 원효는 한국 불교 사상의 발달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속(俗)성이 설(薛)이며, 아명(兒名)은 서당(誓幢)·신당(新幢), 법명(法名)은 원효(元曉)이다. "원효"라는 이름은 "불교를 새로 빛나게 한다"는 뜻이며, 당시 사람들은 이를 "새벽[始旦]"이라는 우리말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원효는 617년(진평왕 39년)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의 불지촌(佛地村) 북쪽 율곡(栗谷)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는 잉피공(仍皮公, 赤大公)이었고, 아버지는 신라 17관등 가운데 11위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