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말기환자 관리와 간호 교육2024.09.201. 생애 말기환자 관리 1.1.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이란 암 또는 만성 질환의 말기 상태로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명의 의사에 의해 생존 기간이 6개월 이하로 예상된 환자를 말한다. 이들은 심폐소생술거부확인서를 작성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가 완화 진료에 대해 동의하여 완화 진료에 의뢰된다. 또한 기대여명을 예측할 수 없더라도 질병의 진행으로 인한 통증 및 증상 완화가 필요한 환자도 포함된다. 이러한 생애 말기환자들은 암 또는 만성 질환으로 인해 더 이상 적극적인 의학적 치료의 대상이 되지...2024.09.20
-
연명치료 간호연구2024.10.08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의학발전과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인간은 '어떻게 사느냐'의 문제를 넘어 '어떻게 죽느냐'의 문제까지 고려하게 되었다. '잘 살고 싶은 것'과 더불어 '잘 죽고 싶은 것'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고, 사회적으로 연명치료중단이라는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했다. 연명치료 중단은 회복 불가능한 환자가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불필요하고 과다한 치료를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의료현장에서 다양한 생명의료윤리 문제로 인해 수많은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윤리적 갈등 ...2024.10.08
-
마이시스터즈 키퍼 감상문 분석2024.10.031. 마이 시스터즈 키퍼: 생명윤리에 대한 고찰 1.1. 영화 줄거리 영화 '마이 시스터즈 키퍼'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화는 급성 전골수세포성백혈병(APL)을 앓고 있는 언니 케이트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태어난 열세 살 안나의 독백으로 시작된다. 안나는 부모가 언니 케이트를 살리기 위해 특별히 선택하여 맞춤형으로 만든 아이라고 설명한다. 언니 케이트가 2살 때 백혈병 진단을 받았고, 안나는 태어났을 때부터 병원에서 자신의 신체와 관련된 권리를 빼앗겼다. 어릴 때부터 11년간 8회의 입원, 튜브 삽입 6회, 골수 기증 2회...2024.10.03
-
호스피스 영화 목숨2024.11.071. 영화 '목숨'에 대한 이해 1.1. 영화 '목숨' 줄거리 영화 '목숨'은 남은 시간 평균 21일의 삶의 끝에서 잠시 머물며 이별을 준비하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찍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곳은 누군가의 아버지, 어머니, 사랑하는 사람들이 마지막을 준비하는 곳으로, 사십대 가장 박수명, 두 아들의 엄마 김정자, 수학선생님 박진우 할아버지와 쪽방촌 외톨이 신창열 이렇게 네 명의 인물이 주인공이 되어 이들이 가족을 보내고 남은 여생을 마무리하는 과정을 기록한 작품이다.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보편적으로 생각...2024.11.07
-
시체 해부 느낀점2024.10.271. 서론 간호학과에 진학 후 무슨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율적으로 읽었냐고 물어본다면, 나는 오늘 써내려갈 책 《숨결이 바람 될 때》라고 대답할 것이다. 내가 자율적으로 찾아서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이 아니라 과제를 통해 만나게 된 책이긴 하지만, 책을 한 장 넘기고 나서부터는 오로지 내 자율적으로 책의 끝이 궁금해지는 것이었다. 책의 저자는 '폴 칼라니티'라는 신경외과 레지던트로, 자기자신이 책의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이야기를 책에 담았다. 독자들은 책을 읽으며 그의 삶의 경험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처음 책 이름을 들...2024.10.27
-
치료의선물2024.09.281. 서론 이 책 『치료의 선물 (새로운 세대의 상담자와 내담자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은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작가 겸 치료자인 Irvin D.Yalom이 쓴, 총 85장(283쪽)으로 엮어진 내담자(환자)와 상담자 모두를 위한 심리치료 안내서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상담의 준거 틀인 대인관계와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은 치료적 다원주의를 제안하며 심리상담 분야에 입문하는 젊은 학도들에게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은 자기 자신만의 창조적 방법을 찾기를 희망한다. 이 책은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제한된 수의 중요한...2024.09.28
-
존엄사와 안락사는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2024.11.061. 안락사와 존엄사의 개념 1.1. 안락사의 정의와 유형 안락사의 정의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안락사란 "환자가 견딜 수 없는 지속적인 고통을 겪고, 치료와 조절이 불가능한 병에 걸려 생존가능성이 적을 때(죽음이 임박할 때), 의사가 환자에게 죽음을 초래할 물질을 투여하는 등 인위적·적극적 방법으로 자연적인 사망시기보다 앞서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안락사는 고의적인 죽임(killing)이며, 이는 자연사 또는 사고사와 같은 비고의사와 구분된다. 또한 안락사는 자살과도 구분되는데, 이는 그 동기가 범죄적인...2024.11.06
-
블루베일의 시간 감상문2024.09.081. 블루베일의 시간 1.1. 블루베일의 의미 '블루베일'은 구원이나 보호해주는 보호막이며 안정감을 주는 색상 '블루'와 비밀스럽게 감춰져 드러내 보이지 않는 모습을 뜻하는 '베일'이 합쳐진 용어이다. 이를 통해 '블루베일의 시간'은 하나의 생명이 삶의 여정을 거쳐가는 동안 각자가 가지고 있던 베일을 이제는 안전한 보호막 아래에서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임종을 앞둔 환자들이 편안하고 인간답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호스피스 병동의 상징적인 의미라고 볼 수 있다. 1.2. 호스피스와 호스피스 병동 ...2024.09.08
-
이상 날개, 비평2024.09.091. 서론 한국 근대소설 중 가장 많은 비평이 쓰인 작품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작품은 '이상(李霜)'의 「날개」를 꼽을 수 있다. 그 만큼 「날개」는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적인 언어 형식으로,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의 내면세계에 대한 폭넓은 해석을 할 수 있었고, 작가만의 개성이 느껴졌던 독창적인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상(李霜)'은 지금까지도 많은 논자들에 의해 거론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거론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날개」를 읽으면서 가장 호기심이 생겼던 것은 작품 속의 배경에 대한 해석이었다. 따라서,...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