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카투사2024.09.111. 카투사 제도의 이해 1.1. 카투사의 정의와 역할 '카투사(KATUSA ;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는 주한 미군의 각 부대에서 미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육군 소속의 요원을 일컫는다. 한국의 지리, 언어, 문화 등에 익숙하지 못한 주한미군이 한·미 연합방위작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국군과 미군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카투사는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실시하는 공개모집을 통해 전산 선발되며, 한·미 양국군의 신병교육...2024.09.11
-
한국 미국 일본 안보협력2024.10.261. 한반도 내 한미동맹의 현황과 역할 1.1. 한미동맹의 역사적 배경 1.1.1. 2차 세계대전 당시 한미 동맹 관계 2차 세계대전 당시 한미 동맹 관계는 한국과 미국이 일본에 대항하여 함께 투쟁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배경을 찾을 수 있다.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 이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의 군정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는데,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미국은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한미동맹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미국은 일본을 상대로 한 동맹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미군이 한국광복군을 훈련시...2024.10.26
-
카투사2024.10.221. 카투사란 무엇인가 1.1. 카투사의 정의 카투사(KATUSA: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란 "주한 미 8군의 각 부대에서 미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육군 소속의 요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소속은 대한민국 육군이면서 동시에 미군 부대에서 복무하는 사병을 의미하는 것이다. 카투사는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실시하는 공개모집을 통해 전산 선발되며, 이들은 한·미 양국군의 신병교육기관인 육군훈련소와 KTA(KATUSA Training Academy)에서 각각 ...2024.10.22
-
한미동맹 UN UN의날2024.10.081. 한미동맹의 역사와 발전 1.1. 한미동맹의 역사 1.1.1.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일본을 상대로 동맹을 맺은 것은 한미 최초의 동맹으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과 전쟁을 치르게 된 미국이 일본과 싸울 동맹국으로 중국과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한국광복군을 선택하였다. 당시 김구 선생님이 이끌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이 제의를 수락하였고, 미군 장교가 한국광복군 훈련을 담당하기도 하였으며 일본의 항복 직전 광복군과 미군의 국내 진공작전이 계획되었으나 일본의 조기 항복으로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였다....2024.10.08
-
한미상호방위조약2024.10.251.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개요 1.1. 체결배경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배경은 다음과 같다. 1950년대 한국 사회는 대내적으로 엄청난 구조를 겪고 있었으며, 대외적으로는 한미관계의 새로운 재정립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같은 시기 미국 사회는 정책수립가들이 국가안보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해 가고 있었다. 더불어 세계사적 관점에서는 미국과 소련간의 이념적 대립과 갈등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어 이른바 '냉전'이 더욱 격화되어 갔던 시기였다. '군사화'는 냉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한국전쟁이 그 군사화를 촉진시킨 결정적 계기로 작...2024.10.25
-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2024.10.291. 서론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이 수행을 한 작전, 민사심리전에 대해서 수행한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전체적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의 작전 및 민사심리전은 어떻게 수행이 되었는가?"와 "한국군의 작전, 민사심리전이 베트남 전쟁과 한미관계, 한국의 국방과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서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겠다. 즉,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한국군의 작전과 민사심리전 활동을 분석하여 그것이 한국의 국방과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2024.10.29
-
미국의 외교정책2024.08.091.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전망 1.1. 미국 외교정책의 방향성 변화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방향성은 트럼프 행정부와 확연한 대비를 이룬다. 바이든 대통령은 "America is back"이라는 선언을 통해 트럼프 정부의 고립주의적이고 일방적인 외교정책을 부정하고, 전통적인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노선으로의 복귀를 천명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다자주의와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조한다. 트럼프 정부가 일방적으로 탈퇴했던 파리기후협약과 세계보건기구(WHO)에 즉각 복귀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강화할 것임...2024.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