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중세 고려의 유교와 불교2024.11.081. 유교의 수용과 그 배경 1.1. 유교사상의 특징 유교사상은 중국 고대의 춘추전국시대에 공자와 맹자, 순자를 중심으로 정립된 사상이다. 유교사상은 공자가 지적하듯이 귀신보다는 인간을, 죽음보다는 삶을 중시하는 현실우위의 사상이다. 즉, 내세보다는 살아있는 인간이 존재하는 사회현실은 중시하는 사상이다. 그러므로 유교사상은 현실에 존재하는 인간관계와 사회관계를 엄격히 규정하여 그 관계를 명확히 한다. 유교는 중국고대사회의 우주 자연관에 따라 절대적인 질서로서의 천(天)을 상정하고 인간과 사회가 절대적 질서와 합치되는 상태를 말한...2024.11.08
-
신유학2024.12.211. 원시유학과 신유학의 비교 1.1. 공맹 도덕 철학의 인성론 1.1.1. 사상의 등장 배경 공자는 주 왕실이 쇠퇴하고 춘추시대가 도래하자, 많은 혼란이 야기되는 현실을 보고 그는 그러한 원인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첫째, 제후들이 지나치게 월권을 하고 있다. 즉, 주 왕실 기본 질서를 무시한 채 제후들이 권력을 맘대로 휘두르고 있다. 둘째, 약육강식을 자행하고 있다. 셋째, 제후들이 자신의 권력을 확대하기 위해 민들을 학대하고 있고 이에 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그리고 공자는 이러한 사회는 질서가 무너진 시기라고 주장하며 ...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