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임신기피 현상에 대한 간호학적 의의2024.09.221. 서론 1.1. 국가 모자 보건 수준 지표 국가 모자 보건 수준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모성사망비와 주산기 사망률이 있다. 국내의 모성 사망비는 2007년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며, 반대로 주산기 사망률은 1996년도 이후 급감하는 추세이다. 이는 낮은 분만수가로 인한 분만 기피와 전공의 부족, 농촌지역의 분만가능 병원의 감소로 분만 취약지역 증가, 늦은 결혼으로 인한 고령 임산부의 증가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단편적 연구 결과에 의한 추정으로 체계적 분석...2024.09.22
-
모자보건사업2024.10.05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과 현황 1.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 및 목적 모자보건사업은 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모성의 생식건강 관리와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이다. 모자보건사업의 목적은 첫째, 지역사회 건강수준을 증진시키는 것 중 하나로 모성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둘째, 임신과 분만에 수반되는 모든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셋째, 다음 번 임신에 대한 준비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신생아 사망률을 ...2024.10.05
-
PIH2024.09.021. 임신성 고혈압(PI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1.1. 정의 임신성 고혈압(PI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은 임신 기간 중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임신성 고혈압의 15-25%에서 단백뇨가 발생하여 자간전증으로 이행된다. 유산 경험이 있는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게서 자간전증으로의...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