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척추2024.10.011. 척추의 해부학 1.1. 척추의 구성 척추는 인체의 중심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척추는 총 33개의 골격 분절로 구성되며, 이는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등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나뉜다. 이 중 엉치뼈와 꼬리뼈는 성인이 되면 유합되어 하나의 뼈가 된다. 척추의 기본 구조 단위인 추체(vertebra)는 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후면은 약간 오목한 형태에서 볼록한 형태로 변화한다. 각 추체가 지탱하는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추체의 지름도 점차 증가...2024.10.01
-
인슐린 종류2024.10.251. 인슐린의 종류 1.1. 속효성 인슐린 속효성 인슐린은 투약 직후에 빠르게 작용을 시작하며, 대개 식사 직전에 사용된다. 이 인슐린의 피크 시간은 대략 1시간에서 3시간 사이이며, 효과는 약 3-5시간 동안 지속된다. 대표적인 속효성 인슐린으로는 휴마로그(Humalog), 노보로그(NovoLog), 애피드라(Apidra) 등이 있다. 속효성 인슐린은 혈당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신속하게 작용하여 혈당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식사와 운동 직전에 투여된다. 식사 전 투여하면 식후 혈당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2024.10.25
-
인슐린2024.10.251. 인슐린 주사제 종류 및 특징 1.1. 초속효성 인슐린 초속효성 인슐린은 주사 후 빠르게 흡수되어 효과가 발현되는 인슐린 제제이다. 주사 후 약 15분 이내에 효과가 나타나며, 3~5시간 정도 지속되는 특성을 지닌다. 제 1형 당뇨병 환자와 경구혈당강하제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초속효성 인슐린의 대표적인 종류에는 리스프로(Lispro, 휴말로그), 아스파트(Aspart, 노보로그), 글루리신(Glulisine, 아피드라) 등이 있다. 이들 제제는 정상 인슐린에 비해 아미노산 배열이 약...2024.10.25
-
인슐린요법2024.10.101. 인슐린 개요 1.1. 인슐린의 작용 인슐린은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고 글리코겐과 아미노산이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하여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포도당이 세포 내로 이동하면 세포에서 포도당이 에너지로 전환되고, 글리코겐과 아미노산이 포도당으로 전환되는 것이 억제되어 전체적으로 혈당이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인슐린은 혈당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분비나 작용에 문제가 있어 적절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하다." 1.2. 인슐린의 종류 1.2.1. 초속효성 인슐린 초속효성 인슐린...2024.10.10
-
간호술기2024.11.121. 기본간호 1.1. 피내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정맥주사 피내주사는 약물에 대한 감수성 검사나 예방접종을 위해 사용되는 투약법이다. 준비물품으로는 주사약, 약카드, 1ml주사기, 25-27G바늘, 70%알콜솜, 투약쟁반 등이 필요하다. 수행 시에는 먼저 투약처방과 약을 정확히 확인한 후 손을 씻고, 약물을 준비한다. 이후 대상자의 전박내측을 소독하고 약물을 서서히 피내에 주입하며, 주사부위에 윤곽을 그리고 날짜, 시간, 약이름을 기록한다. 바늘 삽입 시 너무 깊게 찌르면 피내를 통과하여 피하로 들어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24.11.12
-
당뇨병성 신경병증 간호진단2024.12.151. 당뇨병의 정의와 증상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인체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 장애이다. 정상적으로는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이 포도당으로 변환되어 혈액 속으로 흡수되고, 이를 세포 내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활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당뇨병에서는 인슐린의 분비 부족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포도당이 세포 내로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고 혈액 속에 남아 있게 되어, 결국 소변으로 당분이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은 이자세포의 인슐...2024.12.15
-
인슐린종류와작용시간2024.10.291. 당뇨와 인슐린 1.1.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이다. 인슐린은 우리 몸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정상범위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와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당 조절이 어렵게 되어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당뇨병에는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이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거의 없는 경우이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정상적인 인슐린 작용이 이...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