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억양의 교육 방안에 대해 기술해보자2024.10.031. 서론 외국어를 학습할 때에 겪게 되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발음과 억양이다. 특히 억양의 경우 학습자들이 적절한 시기를 놓칠 경우 정확한 억양을 구사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즉, 모국어와 목표어가 각각 다른 억양 체계를 갖고 있을 수 있고, 또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잘못된 억양 습관이 초기부터 화석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대한 주의가 없다면 학습자들은 상대방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2024.10.03
-
세종한국어 초급 수업교안2024.10.221.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의 교수-학습 방안 1.1.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결어미 '-어서'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는 초급 단계부터 교수-학습의 대상이 되는 필수적인 문법 항목이다. '-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연결어미 중 하나로, 대립/대조, 원인/원인, 설명, 배경/상황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어서'의 기본적인 용법과 의미...2024.10.22
-
세종한국어 2 초급 수업교안2024.10.221. 초급 한국어 문법 교육 1.1. 종결어미 '-아요/어요' 의 교수-학습 1.1.1. '-아요/어요'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결어미 중 하나는 '-아요/어요'이다. 이 어미는 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사실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아요/어요'는 평서형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주로 어떠한 상황이나 행동, 상태 등을 진술하거나 설명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 사과가 달아요.", "숙제를 다 했어요."와 같은 문장에서 '-아요/어요'가 사용되어 말하는 이의 생각...2024.10.2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비교 분석2024.11.1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1.1. 서론 최근 K-pop과 한국 드라마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며 한류 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의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어는 점차 지역어가 아닌 현대 범용어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회는 구성원 간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성립하고 발전해 나간다"" 의사소통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총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듣고 말하기 능력을...2024.11.19
-
몽골어의 인칭종결어미2024.11.141. 몽골어와 한국어의 인칭 종결어미 1.1. 서론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두 언어의 인칭 종결어미와 시제 종결어미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특히 몽골어의 인칭 종결어미와 한국어의 청유형 종결어미, 설명법 종결어미 간의 대응 양상, 몽골어와 한국어의 시제 종결어미 체계와 공통점 및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골어와 한국어는 같은 알타이어족 언어로 분류되어 유사한 문법적 특성을 공유한다. 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2024.11.14
-
-(으)ㄴ 적이있다 없다 수업지도안2024.11.131. 수업지도안 작성 연습 1.1. '여행 경험'을 주제로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지도하는 1차시 수업지도안 '여행 경험'을 주제로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지도하는 1차시 수업지도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과 가벼운 대화를 나누며 여행에 관한 경험을 환기시킨다. 교사는 "여러분, 여행가고 싶어요?"라고 질문하며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한다. 그리고 "서울에 가 본 적이 있어요?"라고 묻고 학생들의 대답을 듣는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도...2024.11.13
-
강원도 영동 방언 조사 연구2024.12.101. 강원도 영동 방언의 특징 1.1. 강원도 방언권의 구분 강원도는 대개 영서 방언권과 영동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다. 영서 방언권은 춘천과 원주를 중심으로 하여 이 두 도시를 잇는 지역으로서 이른바 사투리가 별로 없다고 일컬어지는 지역이다. 즉, 서울말, 또는 경기도 말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기도에 인접한 지역이다. 그리고 이 이외의 지역을 일단 영동 방언권으로 묶을 수 있다. 영동방언권은 북단영동방언권, 강릉방언권, 삼척방언권, 서남영동방언권의 네 하위방언권으로 세부구분을 할 수 있다. 1.2. 영동방언의 음운론...2024.12.10
-
즐거운 한국어 교재 및 문형선정2024.08.281. 서론 한국어는 대표적 굴절어이다. 어간에 여러 어미가 결합하는 현상, 즉 한 단어의 어미변화를 굴절(inflection)이라고 하는데 용언의 굴절을 담당하는 활용어미 중 그 어미가 용언의 맨 끝에 와서 한 문장의 끝남을 나타내는 어미가 종결어미이다. '간다, 가니, 가라, 가자'에서 '-다, -라, -니, -자'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과 같은 문장의 형식을 결정하며 동시에 합쇼체, 해라체와 같은 상대경어법 체계를 이행하는 두 가지의 중요 기능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로 의사소...2024.08.28
-
세종학당 한국어2 3과 교안 만들어줘2024.11.061. 서론 1.1. 종결어미 '-습니다'에 대한 문법 수업 설계 종결어미 '-습니다'에 대한 문법 수업 설계는 한국어 교육 초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 어미는 동사와 형용사, 명사+다 뒤에 결합하여 상대방에 대한 공손함을 표현하는 평서형 종결어미로, 격식적인 상황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기본적인 종결어미 체계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 설계의 첫 단계는 수업 목표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 종결어미 수업의 목표는 학습자들이 '-습니다' 표현을 사...2024.11.06
-
한국어의 4가지 문장형과 각 문장형에 쓰이는 종결어미들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설명하십시오2025.01.191. 서론 1.1. 문장의 유형과 종결어미 한국어에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이라는 4가지 주요 문장 유형이 존재한다. 이들 문장 유형은 화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구분되며, 각 유형에 따라 특정한 종결어미를 사용하게 된다. 평서문은 화자가 어떤 사실을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문장 유형이다. 이때 '-다/-는다/-ㄴ다', '-ㅂ니다/-습니다', '-아요/-어요' 등의 종결어미가 쓰인다.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답변을 요구하는 문장 유형이다. '-습니까/-ㅂ니까', '-아요/-어요', '-아/-어', '-냐', '-니...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