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병리학중간고사문제2024.09.211. 병리학의 정의와 역사 1.1. 병리학의 정의 병리학은 개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상태(증상, 징후, 구조적 이상, 기능적 이상 등)를 면밀히 관찰하여 질병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사명인 학문이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 pathos(질병)와 logos(학문 또는 과학)을 합한 라틴어 'pathologia'로, 정상범위를 벗어난 병적 상태의 생체구조 및 기능상 변화를 관찰하여 그 변화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리학에서는 세포, 조직, 장기에 연관된 질병의 원인, 발병의 발생론, 형태학적 변화, 기능적 변화,...2024.09.21
-
임상병리 임상화학2024.09.301. 임상병리 검사 1.1. 임상병리학의 정의와 특징 임상병리학은 기초의학 분야에 속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을 위해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은 환자의 병리학적 상태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검사 결과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찾아내며, 질병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치료와 예후 판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임상병리학은 화학, 생물학, 물리학 등의 기초의학 지식을 활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필요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임상의들은 환자의...2024.09.30
-
조직검사학 지질 아밀로이드 탄수화물2024.10.081. 지질 1.1. 지질의 정의와 특성 지질은 물에 녹지 않고 비극성 용매(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잘 녹는 생체 내 유기화합물이다. 지질은 단순지질, 복합지질, 유도지질로 분류되며, 조직 내 지질의 검출은 조직병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방색전증, 지방육종, 난포막종과 같은 일부 종양에서의 지질 유무, 심장 또는 간의 지방변성, 죽상동맥경화증에서의 혈관 내 죽종의 확인 및 지질축적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지질 검출이 중요하다. 또한 세포 내 지방대사의 이상을 확인하는 데에도 지방염색이 필요하다. 1.2. ...2024.10.08
-
임상병리사 기생충2024.11.201. 임상병리검사학 1.1. 정의 및 특징 임상병리검사학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임상병리검사학은 임상화학, 진단혈액학, 임상미생물학, 임상면역학, 수혈의학, 임상생리검사,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세부 전공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분야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건강 증진을 위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하는데, 각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질병의 원인...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