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영양과 건강에 대하여2024.09.171. 100세 시대 영양과 건강 1.1. 서론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100세 시대는 먼 미래의 일로 여겨졌지만, 이제 인간에게 100세 시대는 꿈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 물론 아직까지 인간의 '평균'수명이 100세를 돌파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국민을 기준으로 평균수명이 83세에 육박했기 때문에 이 중에는 100세 이상을 살고있는 사람들이 분명 존재할 것이다.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졌다는 것은 그만큼 영양 상태나 보건, 위생 상태가 좋아졌다는 의미이다. 사람들은 과거에 비해 건강 관리에 신경 쓰고 있으며, 몸이...2024.09.17
-
우리나라 궁중음식 신선로 조사2024.09.221. 서론 음식은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매우 큰 매개체인 동시에 수입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각 나라마다 자국의 음식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닌 조상들의 혼이 깃든 문화인 우리 한국음식을 전 세계에 알리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리 음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나 지금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 고유의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하여 한 민족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통을 계승·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음식은 건강식이자 조상...2024.09.22
-
음식과세계문화2024.10.061. 동북아시아 음식문화 1.1. 자연적·사회적 환경의 특성 중국의 국토는 965만km^2로 넓은 편이며, 14개의 국가와 접하고 있어 지역의 방대성으로 다양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황하와 양쯔강을 경계로 북쪽과 남쪽으로 구분되는데, 남부 지방은 열대 다우 기후, 중부지방은 온대 습윤 기후, 서부지방은 온대 몬순 기후, 북부지방은 냉대 한계 습윤 기후 등 다양한 기후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다양한 지형과 기후는 다양한 식량자원의 생산으로 연결되고, 풍토와 생활습관도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양쯔강 이남 지역...2024.10.06
-
식사요법 연식2024.09.141. 연식(軟食)의 이해 1.1. 연식의 정의 및 특징 연식(軟食)은 소화가 잘 되고 부드러운 식사를 의미한다. 연식의 정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연식은 주식의 형태가 죽이기 때문에 일명 "죽식"이라고도 부른다. 연식은 영어로 "soft blend diet"로 불린다. 연식은 일반식을 섭취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식사로, 소화되기 쉽고 부드럽게 조리된다. 연식은 섬유소와 결체조직이 적기 때문에 구강장애, 혼돈상태, 소화기능 저하 환자, 흡수능력 저하 환자 등에게 제공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연식의 농도를 조절할 수 ...2024.09.14
-
책 설이2024.10.221. 일본 음식 문화의 역사적 변천 1.1. 죠몽시대부터 에도시대까지의 음식 문화 변화 죠몽시대는 약 10,000년~기원전300년경으로 기초 식량을 수렵과 어로에 의지하였으며 이 때 식량저장과 조리를 하기 위한 도구가 만들어졌다. 중국 대륙의 기원전 5세기~4천년 경 벼농사가 시작된다. 벼농사가 시작되면서 청동기문화에서 철기문화로 넘어가는데 이 철기문화는 주변민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야요이시대는 이때에 해당하며 일본에 쌀이 들어온 경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시대이다. 아스카시대에는 조림과 구이, 찜 요리와 함께 한국과 ...2024.10.22
-
음식고전2024.10.231. 한국의 전통 음식 1.1. 서론: 우리 음식의 이해에 대한 당위성 우리 음식의 이해에 대한 당위성 우리가 매일 접하고 있는 우리나라 음식들은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만큼 그 조리 방식이 과학적이고, 영양과 맛이 다양하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작 우리 음식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우리가 우리 음식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우리 음식에 대한 이해를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특징이 형성되었다. 이를 ...2024.10.23
-
음식과 세계문화2024.10.111. 서론 1.1. 한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는 역사가 깊고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음식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는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된 독특한 식문화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한국인들은 오래전부터 "밥 한 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인들은 식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왔다. 또한 "굶기를 밥 먹듯 한다",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 등의 속담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이처럼 한국 사회에서는 음식과 식사가 일상생활에서 큰...2024.10.11
-
일본요리 10가지 유래2024.10.091. 일본의 전통문화 1.1. 일본의 국가 개요 일본의 국가 개요는 다음과 같다. 일본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섬나라로, 언어는 일본어를 사용하며 면적은 약 378,000 ㎢로 세계 62위이다. 인구는 약 1억 2,685만 명으로 세계 11위를 차지한다. 일본의 GDP는 약 4조 8,721억 달러로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다. 기후는 훗카이도와 혼슈 북부 및 중부 내륙고지가 아한대다우기후에 속하며, 그 밖의 모든 지역이 온대다우기후에 포함된다. 종교는 신도, 불교, 기독교가 공존하며, 정치체제는 입헌군주제이다. 일...2024.10.09
-
직장암2024.10.081. 직장암의 정의 1.1. 직장암의 개념 직장암은 직장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한다.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또는 결장 직장암이라고도 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가 약 15㎝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2024.10.08
-
일본음식2024.10.061. 한국과 일본의 식문화 비교 1.1. 한국의 식문화 한국의 식문화는 온돌로 인한 난방문화가 발달하여 주로 보온에 유리한 무거운 놋쇠그릇을 사용하게 되었다. 도자기나 나무로 만든 칠기는 손으로 들기 편한 반면 놋쇠그릇은 무거워 밥그릇을 들고 먹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의 경우 숟가락을 사용하여 국과 밥을 먹기 때문에 밥그릇을 식탁에 두고 먹는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은 온돌로 인한 난방문화의 발달로 인해 무거운 놋쇠그릇을 사용하게 되었고, 숟가락 사용으로 인해 밥그릇을 식탁에 두고 먹는 식문화가 발달하였다...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