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신약개발의 임상 시험에 사용되는 확률과 통계2024.09.241. 통계적 가설검정과 오류 1.1.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는 통계적 가설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오류이다. 제1종 오류(一種誤謬, 영어: type I error)는 귀무가설이 실제로 참이지만, 이에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오류이다. 즉, 실제 음성인 것을 양성으로 판정하는 경우이다. 거짓 양성 또는 알파 오류(영어: α error)라고도 한다.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은 α로, 가설 검정에 대해 설정한 유의 수준이다. α가 0.05이면 귀무가설을 잘못 기각할 가능성이 5%임을 인정...2024.09.24
-
통계로 세상읽기2024.10.271. 통계와 데이터 활용 1.1. 국가통계의 이용 국가통계는 정부 기관 등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수집하고 작성하는 공식적인 통계이다. 이러한 국가통계는 개인, 기업, 정부 측면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첫째, 개인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로 국가통계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기상청의 날씨 통계를 참고하여 옷차림이나 우산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은 시장 분석, 전략 수립, 경영 기획 등을 위해 국가통계를 활용한다. 특정 제품의 판매량, 소비자 동향 등을 파악하여 마케팅 계획을 수립할 때 KOSI...2024.10.27
-
중학교 기말고사 성적표양식2024.08.161. 서론 1.1. 간호연구의 중요성 간호연구는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과 간호지식의 체계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간호연구를 통해 간호행위의 근거를 마련하고 간호실무에 과학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간호연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실무의 과학화 및 체계화이다. 간호실무에는 다양한 이론적 토대와 과학적 근거가 필요한데, 이는 간호연구를 통해 확보될 수 있다. 간호연구를 통해 간호중재의 효과성, 안전성 및 적절성을 검증하고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간호지식체계의 발전이다. 간호연구는 기존의 간호...2024.08.16
-
간호연구2024.09.011. 외생변수 통제방법 1.1. 외적 통제 방법 1.1.1. 대조군 설정 대조군(control group)의 설정은 과학적 증거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에서는 필수적이다. 실험군에 어떠한 처치를 가한 뒤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약을 개발할 때 기존 약 복용군이나 위약 복용군을 두어 실험군과 대조할 근거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대조군의 존재 자체가 실험 연구 조건 통제의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동질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외생변수의 영향을 배제할 수...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