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프로그램계획서 지진2024.09.26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현재 2016년도와 2017년도에 지진 안전국이라 칭해지던 한국이 2차례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강한 지진은 경주와 포항을 휩쓸기 충분했고 경제적인 손실과 인명피해까지 생겼다. 이를 통해 내진의 역할이 부각되었고, 중요성이 한층 더 증진되었다. 이를 통해'내진구조들은 어떻게 흔들림을 제어해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인터넷을 찾아보니 각기 다른 방법으로 건물의 흔들림을 제어하였다. 이를 통하여'이 사실이 진실일까'라는 생각과 '이를 직접 눈으로 보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본 탐구를 진행하게 ...2024.09.26
-
지구과학 내진설계2024.11.121. 서론 1.1. 내진설계의 배경 지진은 더 이상 과학책 속에서만 보던 하나의 자연현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언제든 침범할 수 있는 무서운 존재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내진설계가 도입되었으며 몇 년 전부터 3층 이상의 일반 건축물에도 내진설계의 적용이 의무화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전까지 구조물의 설계개념은 탄성의 설계개념이었다. 탄성의 설계개념이란 '고정하중 및 활하중'처럼 어떤 주어진 설계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을 구성...2024.11.12
-
내진설계2024.10.261. 지진과 내진 설계 1.1. 지진의 정의 및 종류 지진이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구의 표면이 흔들리는 현상이다. 흔히 자연적 원인 중 단층 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변위 자체를 지진이라고 한다. 현상적인 정의로는, 지각 내에 저장되어 있던 변형력이 탄성진동 에너지로 바뀌어 급격히 방출되는 현상을 지진이라고 할 수 있다. 지진의 종류는 깊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0~70km는 천발지진, 70~300km는 중발지진, 300~700km는 심발지진으로 나뉜다. 지진파는 실체파와 표면파의 두 가지로 나뉜다. 실체파는 P...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