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훈민정음 언해본2024.09.191. 서론 훈민정음이 한국 문화의 가장 자랑스러운 보배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실용적이고도 과학적인 제자 원리와 그에 담겨 있는 심오한 언어철학은 세계 문자 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것은 세종 25년(1443) 12월의 일이다. 이에 관한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102, 세종 25년 계해(癸亥) 12월조에 실려 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도 우리말을 표기한 고유 문자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그것은 옛 문헌에 끼어 있는 편언들로서 과학적 ...2024.09.19
-
중세국어2024.08.291. 중세국어 문법 1.1. 문자와 문헌 중세국어의 문자와 문헌은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 시기의 대표적인 문자인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년) 12월에 창제되었다. 훈민정음은 중국의 문자와는 달리 우리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자신들의 뜻을 잘 펼칠 수 없었음을 불쌍히 여겨 스물여덟 자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이는 백성들이 날로 쉽게 쓸 수 있게 하려는 실용정신에 기반한다. 해례본에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기본자의 원리, 그리고 문자의 운용 방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