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가변성하강2024.09.231. 제대탈출 1.1. 정의 제대탈출이란 아두만출 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으로 밀려 내려온 것을 말한다. 파막 후 제대가 중력에 의해 선진부 앞으로 내려오는 양상이 가장 흔하다.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나와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로 인해 태아의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 1.2. 원인 길고 복잡한 제대탈출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길이가 긴 제대는 제대가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둘째, 두정위가 아닌 선진부의 경우 제대가 밖으로 나오기 쉽다. 셋째, 조기파막은 제대가 압박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 넷째...2024.09.23
-
모성 브이심 62024.10.011. 임상추론웹(Kuiper et al.) 사례 분석 Amelia Sung은 36세의 필리핀 여성으로 임신 39주차의 G2P1(L1)로 24시간 전 진통 유발로 입원하였다. 첫째 아들은 3년 3개월 전에 견갑난산으로 출산하였다. 몸무게는 3,345g (7파운드 6온스), 길이는 55cm (22인치)이다. 옥시토신을 1mL/1mU로 시작하여 하루 종일 주입량을 늘렸다. 입원 시에 자궁경부는 -1 스테이션으로 2 cm 개대, 80% 소실되었고, 태아는 정점 위치에 있었다. 01:00에는 4 cm로 100% 개대되었으나 여전히 -1 스테...2024.10.01
-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 인공양막파수 사례 분석2024.10.0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대탈출이 있으면 분만 중 이환률과 사망률이 증가된다. 태아생존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급성탈출과 분만시간이다. 15~30분 이내에 분만이 완료되면 태아 생존율은 약 70~75%이다. 그러나 만약 분만이 1시간 이상 지연되면 태아사망이 50% 이상이다. 생존한 신생아는 조산, 분만외상, 태변흡인 및 저산소증과 관련된 후기 합병증이 진전될 수 있다. Carla Hernandez는 분만지연으로 인해 AROM(인공양막파수)을 시행 후, 제대탈출이 나타난 대상자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필요성 및...2024.10.03
-
조기파막위험성2024.11.141. 고위험 분만 산모의 간호과정 1.1. 만삭 조기파막(PROM) 1.1.1. 정의 만삭 조기파막(PROM)은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연적인 분만의 과정에 차질이 생겨 태아가 조기에 양막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모체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다. 1.1.2. 원인 만삭 조기파막(PROM)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경관무력증, 선진부의 진입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2024.11.14
-
인공양막파열2024.11.1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모든 여성이 임신을 하고 분만을 원활히 끝내는 과정까지 똑같은 징후와 상태를 보이지는 않는다. 출산 시에 진통은 대개 태아가 양막을 압박하게 되면서 양수가 터지며 발생하게 된다. 양막이 자연적으로 파열되면 자궁경부와 질을 거쳐 양막 내부에 있었던 양수가 새어나오게 되고 양막의 파수는 진통이 시작되는 분만 1기 마지막쯤에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연히 양막이 파열되지 않고 진통만 있는 채로 분만 단계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케이스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일 경우 인위적으로 양막을 파수시...2024.11.13
-
Prom2024.12.031. 조기양막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1.1. 정의 조기양막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이란 분만이 시작되기 24시간 전에 양막이 터져 파수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 임부의 15%를 차지하며, 70-80%가 만삭에 생기고 조산의 약 30%는 조기양막파열 때문이다. 양막의 파열이 임신 37주 전에 발생했을 때,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이라고 한다. 조기파막의 80~9...2024.12.03
-
여성 브이심2024.11.201. 여성 모성 간호 브이심(Vsim) Core 디브리핑 보고서 1.1. 1번: Olivia Jones (Core), 경증 자간전증 1.1.1. 자간전증의 질병, 증상, 원인에 대한 고려 자간전증은 임신 중 고혈압과 단백뇨가 동반되는 산과적 합병증이다. 자간전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태반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전신적 혈관 수축과 장기 손상이 주된 병리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자간전증의 주요 증상은 고혈압, 단백뇨, 부종, 두통, 시력 문제, 상복부 통증 등이 있다.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며, 임신...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