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QI 회의록2024.10.311. QI 팀 활동 1.1. QI 팀 구성 및 선임 QI 팀은 QPS위원회에서 간호과장 000이 팀장으로 선임되었으며, 2병동 간호부에서 간호사 000을 간사로, 간호사 000과 간호조무사 000을 팀원으로 구성하였다. 팀장은 요양병원의 특성상 치매, 뇌졸중 등의 질환으로 인지저하된 환자가 많아 치료에 협조되지 않고 낙상에 우려가 있어 신체보호대를 사용하고 있어 신체보호대 사용을 줄이고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QI 주제로 선정하였다고 설명하였다. 팀원들은 본원에서 오래 근무하여 환자와 병원 상황을 잘 알고 있어...2024.10.31
-
환자안전관련 사례보고서2024.11.181. 환자안전의 개념과 중요성 1.1. 환자안전의 정의 환자안전이란 의료로 인한 우발적 혹은 예방 가능한 손상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WHO에서는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 가능한 최소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의료오류란 현재의 의학적 지식 수준에서 예방 가능한 위해사건 혹은 근접오류를 말하며, 근접오류는 의료오류가 발생하여 환자에 대한 위해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지만, 회복 조치에 의해서 원하지 않는 결과가 예방된 경우를 말한다."" 위해사건이란 의료대상자에게 위해를 가져온 ...2024.11.18
-
양지병원2024.08.261. 서론 1.1. 병동 내 드레싱 카트 및 주요 시술 관리의 중요성 병동 내 드레싱 카트 및 주요 시술 관리의 중요성은 환자안전과 감염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드레싱 카트에는 상처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과 소독약품이 포함되어 있어 절차에 따른 정확한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드레싱 교환 시 무균술 준수와 정확한 상처 관찰 및 관리는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 데 핵심적이다. 또한 병동에서 시행되는 주요 시술 및 수술은 침습적 처치로 인해 감염 및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 따라서 시술 전후 간호중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환자안...2024.08.26
-
pda 환자확인2025.02.171. 서론 1.1. PDA 사용의 필요성 및 중요성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간호사들에게 매우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다. PDA 사용은 간호사들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간호사들은 PDA를 사용하여 환자의 약물 관리, 알람 설정, 환자 정보 조회 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DA를 통해 다양한 의료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어 환자 상태에 대한 빠른 판단과 적절한 처치가 가능하다. PDA의 휴대성은 간호사와 환자 간의...2025.02.17
-
환자 확인 qi2024.11.22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병원은 환자를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야 하며 다양한 점검과 확인 절차 중에서 환자확인은 가장 기본적인 업무이며, 환자 안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환자확인 오류는 실제로 진단과 치료과정의 모든 의료행위에 있어 발생된다. 간호사와 환자 간의 투약과 관련된 대화는 인사단계 → 환자확인단계 → 투약단계 → 종료단계 순으로 진행되는데, 간호사가 환자를 잘 알고 있는 경우 환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명시적인 환자확인 행동을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보고되었...2024.11.22
-
정확한 환자확인 질향상 보고서2025.03.251. 서론 1.1. 정확한 환자 확인의 중요성 환자 확인은 모든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를 정확히 확인하여 환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료진은 모든 의료행위 직전에 반드시 정확한 환자 확인을 해야 하며 환자 확인은 환자 안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투약, 혈액 및 검체채취, 치료와 시술 전에는 환자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며 환자 확인이 되기 전에는 어떠한 행위도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 잘못된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일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