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행정공무원2024.09.271.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1.1. 행정윤리의 의의 행정윤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공행정은 사행정(경영)에 비해 유난히 '윤리성이 강조'되는데, 이는 공행정이 ① 공익을 추구하고 ②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③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고 ④ 국민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결정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윤리는 '① 특정국가의 전통적인 행정관 ② 행정문화 ③ 행정관행 ④ 보편타당한 가치관 ⑤ 이에 대한 실천 등'을 포함한다. 행정윤리의 개념은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할 때,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준수...2024.09.27
-
차이의 정치와 정의2024.10.131. 행정의 정의와 요건 1.1. '행정'의 정의 행정은 특정한 전체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제 영역과의 관계에서 집행기관(또는 그 기능적 대체조직)이 정치공동체 구성원의 요구와 욕구(demands and wants)에 대응하는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해 정치공동체의 정의(justice)와 복지(welfare)를 구현할 수 있는 질서(order)를 유지, 향상, 발전시키려는 일련의 활동과 상호 작용의 제도와 과정이다." 여기서 말하는 '질서'는 초자연적 실체(신), 공동체 전체, 국가, 종교제도와 조직, 사회 조직(집단)...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