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맹자 도덕교육,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요약2024.10.021. 맹자의 도덕교육 사상 1.1. 맹자의 생애 맹자는 공자가 죽은 지 100여 년이 지난 중국 시대 중기에 추(鄒)나라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가(軻)이며, 자는 자여(子與) 또는 자거(子居)이다. 맹자는 젊어서 학문을 닦았고, 40세 이전까지는 제자 교육에 전념하였으며, 40세 이후에는 자신의 이상을 추구하기 위하여 온 천하를 두루 여행하였고, 70세 이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노년을 보냈다. 맹자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급씨의 헌신적인 사랑과 훈도 속에서 성장하였다. 맹자에 대한 맹모의 교육열은 맹모삼천지교나 맹모단...2024.10.02
-
홉스의 인간관의 부정적인2024.10.131. 정치사상가들의 비교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사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사상은 행복의 요체가 '행동의 목표와 목적을 올바르게 정하는 것'과 '그 목적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에게 국가는 선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체로, 국가가 구성원 모두의 선을 추구하며 인간에게 행복한 삶을 추구하게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전체는 필연적으로 부분에 앞서며 개인은 고립될 때 자급자족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간은 공동체를 떠나 생존할 수 없으며, 국가는 한 차원 더 높은 공동선을 추구하고 인간은 이러한 정...2024.10.13
-
군주론2024.11.141. 군주론 소개 1.1. 군주론의 정의와 특징 군주론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작성한 16세기 정치 철학 저서로, 군주국 통치의 원칙과 방법을 제시한다. 이 저작은 당시 이탈리아의 혼란한 정치 상황을 반영하여 정치적 현실주의에 기반한 독특한 군주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군주론은 군주가 국가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필요한 자질과 원칙을 상세히 설명한다. 마키아벨리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고려 사항보다는 군주의 권력 유지와 국가의 안정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군주는 필요에 따라 비윤리적이고 잔인한 행동도 서슴지...2024.11.14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정부관 비교, 마키아벨리 정부관, 홉스와 로카의 정부관 비교 그리고 한국사회에 적용할 때 의미와 한계2024.10.301. 서 론 근대 이후의 역사과정 속에서 그 내포와 외연의 심화와 확대를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온 자유주의는 하나의 역사적 현상으로서 다양하고 때로는 상충되는 이념과 가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근대의 대표적인 정치이론으로서의 자유주의는 자유라는 지고의 가치의 실현과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차원의 문제들을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해결하려고 노력했던 많은 이론가와 실천가들의 사상들을 포괄하는 느슨한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규정되는 자유주의 전통은 내부의 긴장과 외부로부터의 도전을 포함하는 끊임없는 변화의...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