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A 서평2024.10.241. 한국 근대 여성 지식인의 삶 이야기 1.1. 『변신하는 여자들』 소개 『변신하는 여자들』은 장영은의 대표 저작으로, 한국 근대 여성 지식인들의 자기 서사를 분석하여 그들의 삶에 대한 '올바른 읽기'를 시도한다. 저자는 여성들이 쓴 다양한 양식의 자기 서사에 관심이 많아 여러 관련 저작들을 출간한 바 있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에서 동아시아 근대문학과 여성 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이 책은 각 장에서 한 명씩, 총 8명의 한국 근대 여성 지식인의 삶을 조명한다. 이때 각 인물을 구성하는 키워드를 고려해 구성된 목차는 독자가 인물 ...2024.10.24
-
정약용과 놀아요2024.10.161. 정약용과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와 업적 1.1.1. 정약용의 성장배경과 관직 생활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광주(현재의 양주군 조안면 능내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진주목사 정재원이었으며, 해남 윤씨 가문 출신인 어머니를 두었다. 정약용은 4남 2녀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 정약용의 가문은 남인계열의 대표적인 명문가문이었다. 어려서부터 정약용은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아버지는 학식과 행정 능력이 뛰어난 관리였다. 정약용은 어머니도 고산 윤선도의 후손이라는 ...2024.10.16
-
정약용2024.10.16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성장과 수학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1762년 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1836년 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그는 성장기와 수학기에 대한 다음과 같은 행적을 보였다. 정약용은 진주목사(晋州牧使)를 역임했던 정재원(丁載遠)과 해남윤씨 사이에서 4남 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음사(蔭仕)로 진주목사를 지냈으나, 고조 이후 삼세(三世)가 포의(布衣)주 0)로...2024.10.16
-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2024.10.251. 흠흠신서 전발무사의 저술 목적과 방법론 1.1. 조선 시대 법제에 대한 이해 조선 시대 법제에 대한 이해는 당시 백성들의 삶의 근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당시 조선은 경국대전을 바탕으로 한 법치주의 국가였다. 경국대전은 1485년에 편찬된 법전으로, 전 국가 체계를 아우르는 기본법이었다. 경국대전에는 육전(육조 관제), 예전(예악 제도), 호전(호구 제도), 병전(군사 제도) 등의 조문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가 통치의 기본 틀이 마련되었다. 특히 형법 체계 측면에서 조선 시대는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대명률...2024.10.25
-
목민심서 서평2024.12.311. 다산 정약용과 『목민심서』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 이후 과거 준비 시기 다산 정약용은 출생 이후 부친의 임지인 전라도 화순, 경상도 예천 및 진주 등지를 따라다니며 부친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우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16세가 되던 1776년에는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는데, 이때 부친의 벼슬살이 덕택에 서울에서 살게 되어 문학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치던 이가환과 학문의 정도가 상당하던 매부 이승훈이 모두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도 이익의 유서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는 정...2024.12.31
-
공학자정약용2024.10.31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고향 마재에서 태어났다. 당시 세상은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정조가 사망하고 정권을 탈취하려는 세력들이 득세하면서 정치적 갈등과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정약용의 가문은 유명한 집안으로, 8대 옥당 가문에 속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온 훌륭한 조상들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태어난 마재는 정약용 가문의 오랜 터전이었으며, 초기 천주교 인사들이 ...2024.10.31
-
애민6조 독후감2024.10.121. 소개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전라남도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저술한 책으로, 지방의 목민관으로서 백성을 다스리는 요령과 본보기가 될 만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서이다. 정약용의 부친이 여러 고을의 지방관을 지낼 때 정약용이 따라다니며 견문을 넓혔고, 정약용 자신도 지방관 및 경기도 암행어사를 지내면서 지방행정의 문란과 부패로 인한 민생의 궁핍을 체험한 바 있었기에 이와 같은 저술이 가능했다고 보여진다. 『목민심서』는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뉘어 모두 72조로 엮었다. 「부임(...2024.10.12
-
목민심서 독후감 - 정약용의 지혜와 사랑 느낀점2024.11.011. 소개 다산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조선 후기의 저명한 실학자이자 문인인 그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정약용은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전라도 강진에 18년 동안 유배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그는 두 아들과 형제들에게 편지를 보내게 된다. 이 편지들은 단순한 가정 서신을 넘어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피어난 아버지의 따뜻한 사랑과 빛나는 지혜를 담고 있다. 편지 속에서 정약용은 아들들에게 끊임없이 학문을 쌓으라고 강조한다. 그는 학문이야말로 삶의 근본이며,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지혜와 능...2024.11.01
-
다산,그에게로 가는길2024.11.12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6월 16일 서울 근교의 마재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 정재원은 진주목사로 봉직하였고,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관리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였다. 4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6세에는 이미 경전을 읽을 수 있었다. 1767년 정재원이 연천에 현감으로 가면서 정약용도 함께 갔는데, 이때부터 그는 관리들의 업무에 대해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배웠다. 1776년, 정약용은 15세의 나이에 부친을 따라 서울...2024.11.12
-
정조의 수원화성, 화성행궁2024.12.061. 건축학 전공생이 바라본 정조의 수원화성 1.1. 정조는 누구인가? 정조는 조선왕조 22대(1752~1800) 임금이었다. 묘호는 정조(正祖), 시호는 선황제(宣皇帝)로, 영조의 아들인 장헌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759년(영조 35년)에 세손으로 책봉되었고,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적인 죽음을 당하자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의 후사가 되어 왕통을 이어받았다. 대리청정을 하던 1775년 바로 다음 해 영조가 죽자 2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정조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개혁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