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법정신간호2024.10.011. 정신건강간호의 윤리와 법 1.1. 윤리적 기준 1.1.1. 자율성 원칙 자율성 원칙은 환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 자유의지로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정신간호사는 대상자의 사전동의를 구하고, 동의 형식에 대상자가 서명할 때 자유롭게 결정하는지, 제공되는 치료에 강압적인 것은 없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의 자율성과 사회적 이득이 최상이 되도록 균형을 맞춰야 한다. 정신건강간호 실무에서는 대상자가 스스로 결정을 못하거나 무능력할 경우 선행의 원칙에 입각한 행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2024.10.01
-
우울장애 관리2024.11.121. 서론 정신질환 관련 이슈와 관리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신질환자에 의해 지역사회가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정신질환자 선별ㆍ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신의료기관 평균 입원일수는 OECD 국가에 비해 매우 길고,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 등으로 인해 의료질이 저하되어 초발ㆍ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ㆍ집중 치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중증 정신질환자 중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 지역사회에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제활동 수준이 낮고 기초생활 보장 수급 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 국민의 정신건...2024.11.12
-
해리장애와신체증상및관련장애에관한발표2024.08.311. 서론 인간마다 생김새가 각각 다르듯이 인간에게 나타나는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도 매우 다양하고 각각 독특하다. 이렇게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모두가 공통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 DSM이 만들어졌다. DSM은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이라는 서적으로,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SA)에서 발표한 정신장애 분류 체계이다. DSM...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