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에대한 소감2024.10.281. 서론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해를 거듭할수록 정신질환을 가지는 국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른 정신건강 예방이나 치료, 지원을 위한 체계의 확립과 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16년 정신질환실태 조사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평생유병률은 25.4%로 18세 이상의 국민 4명 중에 1명은 평생 한 번 이상의 정신적 질환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의 진단 기준을 명확히 하여 세밀하게 분류하여 관련한 정확한 통계의 도출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합의된 정밀한 분류...2024.10.28
-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독후감2024.10.091. 소개 이 책을 쓴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미국의 저명한 정신과 의사로, DSM-III와 DSM-IV의 개정 작업에 직접 참여했던 인물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현대 정신 의학계의 문제점을 낱낱이 폭로하고 있다. 특히 정신 장애에 대한 과잉 진단과 이에 따른 부작용, 그리고 이를 조장하는 제약 회사들의 행태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저자는 정신 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들이 겪게 되는 사회적 낙인과 불이익, 그리고 성급한 진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부작용들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정신 진단이 개...2024.10.09
-
이상심리학의 기초2024.10.151. 이상심리학의 기초 1.1. 이상심리학이란 이상심리학은 인간의 이상행동, 심리장애, 정신질환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상행동이란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의 범위를 벗어나며, 개인이나 사회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상심리학에서는 이러한 이상행동의 원인, 특성, 치료 방법 등을 탐구한다. 이상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해, 설명, 예측, 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발생한 어떤 행동이나 정신과정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 이유를 찾아내며, 상황의 변화...2024.10.15
-
정신이상행동 지남력2024.09.031. 정신병리학 1.1. 정신병리학의 개념 정신병리학은 비정상적 경험, 행동, 인지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분야이다. 정신병리학은 크게 기술정신병리학과 설명정신병리학으로 구분된다. 기술정신병리학은 환자가 보고하거나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경험들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범주화하는 것이며, 설명정신병리학은 증상이나 병의 원인, 발생기전 등을 이론적 체계에 따라 설명하려는 것이다. 즉, 전자는 병명, 증상에 대한 연구이고 후자는 증상이나 병의 원인, 발생기전 등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 1.2. 정상과 비정상 정상과 비정상은 다양한 관점에서 정...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