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부산보훈병원 소개2024.10.021. 우리나라 의료사회복지의 역사 1.1. 근대적 의료사회복지의 시작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부터 빈민의 구제와 가난한 병자의 시료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도를 실시해 왔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에서의 의료사회복지 시작은 세브란스 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앨머너(Almoner)의 역할을 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1958년 7월 13일 한노병원에서 사회복지사인 디아콘(Diakon) 등의 지도하에서 결핵환자와 그 가족을 캐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의 보조로 돕기 시작하였다. 특히 1945년 정신의학회가 조직되면서 심리학자와 사...2024.10.02
-
화성시 주민의 정신건강 증진 보건사업기획안2024.10.131. 정신건강증진센터 1.1.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정의 '정신건강증진센터'란 「정신건강증진법」 제3조에 따라 설치된 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정신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하고, 이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시설과 사회복지시설, 학교, 사업장과의 연계체계를 구축하는 기관이다. 1.2. 정신건강증진센터의 구조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설치는 「정신건강증진법」 제17조에 따라 이루어진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시ㆍ도 단위로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를, 시ㆍ군ㆍ구 단위로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를 각각 설치하여야 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정신건강증진센터를 보건...2024.10.13
-
정신보건법 역사 및 과제 개선점 분석2024.11.021. 정신보건법 개요 1.1. 정신보건법 제정 배경 1.1.1. 정신보건법 제정 배경 및 제·개정 역사 근대화에 접어들며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라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은 요인들도 급증했다. 따라서 정신질환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법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1960년대 제정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시작 됐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1968년 법의 제정을 제안했으나 85년까지 특별한 일이 없다가 85년 당시 사회 보건사회부에서 새로운 정신보건법을 국회에 상정했다. 허나 관련단체들 반대로 진전이 없다가 1990년 복지부가 새로운...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