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정신간호학 급식장애 특성2024.09.201. 정신장애 분류와 진단 1.1. DSM-5의 개념 미국 정신의학회는 1952년부터 독자적으로 정신장애를 분류, 진단체계를 구축해왔다. 즉,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이 그것이다. DSM은 1952년에 처음으로 발행되어, 2013년판인 DSM-5에서는 정신장애를 20개의 주요한 범주로 나누고, 그 하위 범주로 360여 개 이상의 장애를 포함하고 있으며 157개의 진단분류를 제시하고 있다. DSM은 정신질환의 진단에 대해...2024.09.20
-
알코올 중독 간호진단2024.09.301. 알코올 중독 장애 개요 1.1. 알코올의 본질 알코올은 에틸알코올(ethylalcohol)로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당모균에 의해 발효되어지면서 마취효과를 불러오는 무색의 가연성 액체이다. 알코올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초기에는 다행감을 유발하지만 사용이 증가할수록 진정작용, 정신 및 운동 손상을 일으키고 자극에 둔감해지며 점차 혼수(Coma)상태를 일으켜 호흡과 순환의 장애를 일으킨다. 알코올은 대뇌피질에 작용해 억제 중추를 시작으로 대뇌피질, 소뇌, 연수, 척추 순으로 마비가 되며 호흡중추의 마비로 사망할 수 있다. ...2024.09.30
-
이상 심리학 급식및 섭식장애와 수면-가가성장애 소논문 작성2024.12.121. DSM-5의 특징 1.1. DSM의 특징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발간하는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으로, 특정 장애에 관한 진단기준과 정보를 제공하는 표준화된 진단 체계이다. DSM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DSM은 일상적인 용어를 사용한 표준화된 진단기준을 제시하여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를 쉽게 설명한다. 둘째, DSM은 장애의 원인이 아닌 증상의 기술적 특징에 근거하여 진단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특정한 이...2024.12.12
-
조현병 환자 케이스 스터디2024.08.291. 조현병의 개념 1.1. 정의 조현병의 정의는 "신경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의 심각한 형태로서 사고, 정서, 지각, 행동 등을 포함한 인격의 여러 측면의 장애를 초래하는 뇌기능장애이다."라고 할 수 있다. 조현병은 자아경계의 상실과 현실평가의 장애가 특징적인 정신병적 장애로, 환각과 망상을 포함한 심한 현실평가의 장애, 인격의 붕괴,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 상실 등을 특징으로 한다. 1.2. 특징 조현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현병은 사고, 정서, 지각, 행동 등을 포함한 인격의 여러 측면의 장애를 초래하는 뇌기능장애이다. 자아...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