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용수 하폐수처리장 방문 및 보건교육 방법 조사2024.10.041.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현장조사 1.1. 대상 정수장 1.1.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대구광역시 문산정수장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 산29에 위치하고 있다. 문산정수장은 대구광역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 중 한 곳이다. 1.1.2. 정수처리 계통도 및 단위공정 설명 정수처리는 기본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 하는 일은 취수, 약품처리, 응교와 응집, 침전, 여과, 소독, 저장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본적인 틀은 7가지 과정을 거치지만 각각의 정수처리장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배리에이션이 들어간다. 몇 가지가 추가될 수...2024.10.04
-
수돗물 잔류염소정량 분석2024.10.131. 정수장 측정기의 종류 및 원리 1.1. 조사대상 자동측정기기의 종류 현재 정수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측정기는 온도계, pH 측정기, 탁도계, 잔류염소 측정기, 전기전도도, 알칼리도 및 중금속 분석기 등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또한, 정수처리기준에서는 여과시설을 거쳐 소독시설에서의 소독능력의 경우 계산된 불활성화비 값이 1.0 이상이면 99.99의 바이러스 및 지아디아 포낭의 불활성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러스·지아디아 등 병원미생물이 수돗물 중에 함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수처리기준의 준수여부 판단기준인 불...2024.10.13
-
상하수도공학 3장2024.10.101. 상하수도 개요 1.1.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 시설은 크게 수원, 취수시설, 도수관로, 정수장, 배수관로, 배수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수원은 지표수, 지하수, 해수 등이 있으며, 취수시설은 저수지, 강, 하천, 지하수 관정을 통해 원수를 끌어온다. 도수관로는 수원에서 정수장까지 원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수장에서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한다. 배수관로는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을 가정과 기관에 공급하는 시설이며, 배수시설에는 배수펌프장과 배수지가 포함...2024.10.10
-
정수처리시설2024.10.091. 서론 1.1. 물의 중요성과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 물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요소로서 생물체의 70~80%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람은 물을 마시지 않고 1주일이상 생존할 수 없다. 사람은 성인 1인이 1일 2.75리터의 물을 섭취해야 하는데 정상보다 체내에 5%정도 물이 부족할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게 되고 12%정도 부족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른다고 한다. 또한 물은 생물체의 생존뿐 아니라 경제활동에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농업용수가 필요하고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공업용수가 필수적이다. 지구상에는 ...2024.10.09
-
토목기사2024.09.271. 상하수도 공학 1.1. 총론 상하수도 공학의 '총론'은 상하수도 시설 전반에 걸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다룬다. 상수도 분야에서는 수원 및 취수, 정수, 배급수 등의 프로세스와 설계 기준을 다루며, 하수도 분야에서는 하수 발생량 추정, 관로 시설 계획, 펌프장 및 처리장 설계 등을 다룬다. 총론에서는 우선 상하수도 시설의 목적과 기능을 개괄한다. 상수도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식수 공급을 위한 시설이며, 하수도는 오염된 하수를 처리하여 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수원 확보, 정수, 배급수, 하수 수집, 처리 등...2024.09.27
-
한국수자원공사 수행사업 직무능력평가 대비2025.01.061. 댐 및 보의 현황과 운영 1.1. 댐 및 보의 현황 K-water는 2020년 기준으로 20개의 다목적 댐과 14개의 용수전용댐 그리고 16개의 다기능보를 운영·관리하고 있다. 국내 전체 댐의 홍수조절용량의 95%, 용수공급능력의 60%에 해당하는 댐을 K-water가 운영·관리하고 있다. 보는 각종 용수의 취수, 주운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고 조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 종단 방향으로 설치되는 시설이다. 이와 같이 K-water는 20개의 다목적댐, 14개의 용수댐, 5개의 홍수조절댐, 1개의 하굿둑을 관리하...2025.01.06
-
왜 사람들은 락스를 많이 쓸까2024.09.011. 요구되는 물의 품질과 그에 따른 정수처리의 변화와 문제점 1.1. 서론 산업혁명이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산업폐수의 증가로 수질 오염은 심각해 졌다. 초창기에는 그 심각성을 모르다 20~30년 전부터 선진국 국민들이 심각성을 인식하고 수질 개선 전문가를 고용하길 원하면서 점차 수질 오염에 대한 심각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위의 그림은 일인당 쓸 수 있는 물의 양을 m3 단위로 수치화 한 것이다. 여기서 물 부족국가 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기준점은 25,000 m3 이다. 만약 25,000 m3 보다 높으면 물 충분...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