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나의 정서지능에 대한 이해2025.01.141. 서론 1.1. 정서의 개념과 기능 정서는 인간의 생존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으로서, 인간 내부에서 발생되는 일시적인 또는 장기적인 느낌 및 감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서는 인간 심리 중 중요한 부분이지만, 인간 스스로 사고나 행동을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정서를 조작할 수는 없다. 인간은 그 누구나 기본 정서를 지니고 있는데, 기본 정서는 생득적이고 동일한 환경에서 나이 및 문화 등과 상관없이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발생한다. 기본 정서의 범주는 공포, 혐오, 분노,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을 크게 넘어서지...2025.01.14
-
분노유형 및 성향 이론 설명과 변화 9단계 적용2024.11.131. 서론 인간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관계를 맺고,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을 배우고, 성장과 발달을 하며, 삶의 만족감과 안정감을 얻는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다양한 상호작용은 여러 가지 문제와 갈등들이 발생하게 되기도 하여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런 어려움 중 하나가 분노인데, 분노는 인간의 기본 정서 중 하나로, 욕구의 좌절이나 위협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발되는 보편적이면서도 중요한 감정이다. 특히 분노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지만, 적절하게 통제 혹은 표현되지 못한...2024.11.13
-
사회기술훈련2025.03.211. 서론 1.1. 사회기술훈련의 정의와 필요성 사회기술이란 사회생활을 행하는 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술로서,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다. 사회기술능력이 결핍되면 사람들은 다양한 정신건강문제와 같은 일상을 어렵게 하는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기술훈련을 통해 사회생활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을 가르침으로써 대인관계의 문제의 원인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대화기술, 문제 해결, 감정표현 같은 훈련이 사회기술훈련에 포함되며, 특히 조현병 대상자가 이러한 훈련에 가장 적합하...2025.03.21
-
아동기 이상발달 딥스 문제행동 원인 분석2025.01.091. 서론 1.1. 아동기 이상발달과 문제행동 아동기는 매일 성장해 나가고 변화하는 시기이므로, 오늘 문제가 되는 행동도 내일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단순히 특정 증세로 진단하기보다는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발달에 문제가 있다는 이상발달의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문제행동이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실패하여 나타나는 행동으로, 지속성을 가지며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경우를 말한다. 문제행동의 원인은 선천적인 소질과 성장과정에서의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2025.01.09
-
사회기술훈련2024.12.101. 사회기술훈련의 필요성과 목적 1.1. 사회기술의 개념 및 의의 사회기술이란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회기술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술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기술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기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회기술의 향상은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사회적 기능을 높여 원활한 사회생활을 ...2024.12.10
-
행동주심리학은 무엇을 통해 마음측정2024.09.061. 정서심리학 연구의 이해 1.1. 정서심리학의 정의와 연구 동향 정서심리학은 사람의 정서(감정)와 그에 따른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정서심리학은 정서의 본질, 발생 과정, 표현 방식, 정서와 행동의 관계 등을 탐구한다. 전통적으로 심리학에서는 정서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았으나, 1960년대 이후 인지혁명과 더불어 정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정서심리학에서는 정서를 행동지향적, 심리생리학적, 인지중심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행동지향적 접근은 정서의 표정, 제스처, 행동 등 외현적 표현에 주목하며,...2024.09.06
-
합리ㆍ정서ㆍ행동상담 주요 개념 및 목표 분석2024.12.171. 서론 인간은 주어진 상황을 바꿀 순 없지만 자신의 생각과 그에 따른 행동, 감정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부정적 감정이 자신의 어떤 욕구와 바람 혹은 기대에 의해 유발되었는지 알아차리고 합리적인 생각을 통해 적절한 감정과 행동으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을 논한 REBT이론을 설명하고 비합리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을 경우 합리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REBT 이론의 대표적 비합리적 신념 REBT ...2024.12.17
-
친구관계2024.08.131. 친구 관계의 중요성 1.1. 인간 삶에서 친구 관계의 의미 인간 삶에서 친구 관계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친구 관계는 단순한 사회적 연결을 넘어, 개인의 정서적, 심리적 발달에 필수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친구들은 삶의 여정에서 동반자 역할을 하며, 서로에게 지지와 격려, 때로는 도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계는 우리의 정체성 형성, 가치관의 발달, 그리고 대인관계 기술의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또한 친구 관계는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적 완충 역할을 하며,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친구 관계는...2024.08.13
-
아동을 위한 중재방법 및 중재계획을 행동주의 모델과 인지 모델에 근거하여 2가지 이상을 활용하여 작성하세요2025.04.061. 서론 1.1. 아동을 위한 중재 방법 및 중재 계획의 필요성 아동을 위한 중재 방법 및 중재 계획의 필요성은 아동의 정서, 행동, 발달 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데 있다. 정서장애를 가진 아동은 사회성 기술의 부족으로 대인관계와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자폐성 장애 아동의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큰 결함을 보이므로, 이들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한 중재 방법 및 계획이 절실히 요구된다. 행동주의 모델과 인지 모델은 아동의 문제 행동...2025.04.06
-
만2세 관찰일지2024.08.311. 만 2세 1학기 발달 관찰 1.1. 기본생활 발달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 발달은 다음과 같다. 만 2세 영아는 교사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다. 영아는 교사가 "같이 화장실 다녀올까?"라고 제안하자 "응!"이라고 말하며 화장실로 가서 스스로 바지와 팬티를 내린다. 이후 교사가 "OO이 이제 선생님 도움 없이도 옷 내리고 쉬 할 수 있구나"라고 말하자 영아는 "혼자 할 수 있어!"라며 자신감 있게 말한다. 이처럼 만 2세 영아는 기본적인 배설 행동을 혼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식사 시간에도 교사의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