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Kdc 분류2024.10.111. 서론 1.1. 정보자료의 기하급수적 증가 정보자료의 기하급수적 증가는 정보분류와 기록의 필요성을 높여왔다. 정보자료는 수많은 분야에 걸쳐 지속적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자료의 소재를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분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대사회의 폭발적인 정보 생산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분류체계의 필요성을 대두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각국의 도서관과 문헌정보 기관들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왔으며, 우리나라 또한 오래전부터 서지분류 역사를 가지고 있다. 1....2024.10.11
-
라키비움의 발전2024.11.281. 라키비움(Larchiveum) 1.1. 라키비움의 유래 및 개념 1.1.1. 도서관의 개념 『도서관법』에서는 "'도서관'이라 함은 도서관자료를 수집·정리·분석·보존하여 공중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조사·연구·학습·교양·평생교육 등에 이바지하는 시설을 말한다."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과거보다 지금의 환경에서의 도서관은 그 기능이 확대되어 폭 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법』에 따르면, "'도서관자료'라 함은 인쇄자료, 필사자료, 시청각자료, 마이크로형태자료, 전자자료 그 밖에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등 지식정...2024.11.28
-
한국십진분류법 장단점2024.11.191. 서론 정보자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어디에 어떤 자료가 있는지 찾기 위해 분류하고 이를 기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존 최고의 목록인 초조대장목록부터 해동문헌총록, 모리스 코랑의 조선서지 등 서지분류에 의한 목록으로 자료를 분류하다가 일제강점기 때부터 근대적인 분류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부터에 만들어진 조선십진분류법(KDCP)에 거쳐서 우리나라에 맞는 분류법을 도입하고자 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한국십진분류법(KDC)이다. 한국십진분류법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1964년 5월 31일 초판을 낸 이후로 개정판을...2024.11.19
-
연세대 대학원 컴퓨터과학2024.11.081. 사물인터넷과 DNS 1.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1.1.1. 사물인터넷의 정의 및 발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1990년대, 인터넷을 활용한 산업이 발전함으로써 새로운 산업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1999년,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대학의 오토아이디센터 소장이었던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P&G(Proctor & Gamble)에 근무하던 시절, 공급망관리에 적용하면서 처음 사용하였다. 그 당시에도 칩이나 센...2024.11.08